乙卯日柱의 특성(特性)

지장간: (甲 乙) 比肩(劫財, 比肩) 장성(將星), 현침(懸針) 日柱, 比劫 혼잡(混雜)
[
比肩 羊刃, 比肩 桃花]

청토(靑兎)이므로 푸른 토끼의 형상이다.

 

간지(干支)로는 여린 나무라 겉으로는 순박해 보이고 유약해 보이나 속 고집이 강하다. 뿌리가 튼튼해 외부의 환경이나 유혹에 쉽게 흔들리지 않으며 강직하다. 남이야 죽든 말든 세상을 자기 위주로 사는 경우가 많은데 천간(天干) 지지(地支) 오행(五行)이 같은 간지동(干支同)이거나 일지(日支) 인성(印星)인 경우의 특성이다.

 

너무 신강(身强)한 사주도 자기밖에 모르는 독선적인 성향이 강하다.

 

을목(乙木)은 음악 좋아하고 화()를 좋아하고 금()을 싫어하고 가을을 싫어하는데 금()을 싫어하면서도 을경(乙庚) ()으로 엮여 들어간다.

 

외유내강형으로 음()이면서 양()처럼 행세하기도 한다.

 

매서운 성품이 지나치면 독성(毒性)을 품은 무서운 기질이 되기도 하고 일지(日支) 비견(比肩)이라 부부궁이 불안한데 비겁(比劫)은 친구이니 좋을 때는 협력이 잘 되지만 쟁투(爭鬪)가 벌어지면 전쟁을 방불케 한다. 애틋한 사랑도 없고 서로 배우자에 대한 존경도 없다.

 

을목(乙木)도 도화(桃花) 성분이요, 묘목(卯木)도 도화(桃花)성분이다. 을묘(乙卯) ()은 매서운 바람 성분이다. 강한 도화(桃花)성이 넘쳐 만인의 사랑을 받을 수 있는 모습이면서도 차가운 도화(桃花)라 바람을 많이 일으키는 팔자이다.

 

묘목(卯木)에 뿌리를 내린 강한 목()이라고 해도 화()가 없으면 꽃도 열매도 열리지 않는다. 간지(干支)로 풍()이요, 바람이라 끼가 많은 바람둥이가 많은데 풍파가 심하다. 특히 부부궁이 위험하고 남자 문제로 인한 풍파를 면하기 어렵다.

 

심하면 재성(財星)이 다치는 것이고 배우자가 다치거나 튕겨 나가는 것이다. 재물로 인한 풍파도 많다.

 

특히 신강(身强)하면 더더욱 색정으로 인한 파란이 많고 가정을 지키기도 어렵다. 가정을 지킨다고 해도 따로 숨겨놓은 연인이 있기 쉽다.

 

여명(女命)은 소실로 있다가 본처를 내쫓고 안방을 차지하는 경우도 있다. 치밀한 성품에 분명한 것을 좋아하고 일을 처리하는 능력은 탁월하다.

 

명석한 두뇌로 개성을 살려 전문직으로 가면 대성할 수 있는 잠재력은 충분히 있다. 사주(四柱)가 튼튼하고 병화(丙火)가 있어야 한다.

 

을묘(乙卯) ()은 간지(干支)로 습목(濕木)인데 조후(調候)가 안되면 신경 계열이나 간담에 이상이 나타나며 차가운 자수(子水)나 축토(丑土)가 붙으면 더욱 위험하고 신경이나 간이 굳어 버린다. 중풍이나 간경화나 간암을 부를 수 있다.

 

을묘(乙卯)는 약초의 물상으로 한의학에도 연결되며 의료계이다.

 

예술, 연예 방면에도 인연이다. 을목(乙木)은 노래와 춤을 좋아한다. 또한 소질도 있다. 물론 식상(食傷)인 병화(丙火)가 있어야 제격이다.

 

 

() 운을 만나면 묘미(卯未) 목국(木局)으로 여자가 들어오고 돈이 들어오는데 비겁(比劫)과 재성(財星)이 합해서 비겁국(比劫局)이 된다. 들어오던 재성(財星)은 뒤로 숨어 사라지고 비겁(比劫)만 강해지므로 마누라의 주장이 강해지는 것이다.

 

신강(身强)해져서 비겁(比劫)이 더욱 위험한 존재가 되는데 미토(未土) 재성(財星)을 비겁(比劫)이 끌고 들어오는 작용을 하면서 비겁(比劫)으로 변해 재성(財星)이 사라지므로 돈이 날아가고 목돈이 푼돈 되어 흩어지는 운이다. 나가면 들어올 줄 모른다.

 

일간(日干)의 재산이요, 일간(日干)의 땅인 미토(未土)가 들어오는데 일지(日支)에 납작 엎드려 대기하고 있던 묘목(卯木)이 자기가 주인이라고 나서는 꼴이 될 수 있다.

 

마누라가 비겁(比劫)과 바람나 도망가는 배신의 형상으로 도망가면 다시 돌아오지 않는다. 마누라가 딴 주머니를 차기라도 하므로 의처증이라도 발동되는 운이다. 마누라가 시댁의 형제들에게 시달려 고생을 하기도 하는데 마누라의 건강도 좋지 않다.

 

미토(未土)는 일간(日干) ()의 묘지(墓地)로 무덤 속으로 들어가는 운이다. 갇혀 꼼짝달싹 할 수 없는 운이다. 활동력이 약해지고 몸이 아프거나 건강이 좋지 않다. 병원에 갇혀 입원할 수도 있다. 마누라 말을 들을 수밖에 없는 운이다. 미토(未土) 때문이다. 돈 때문이요, 마누라 때문이다.

 

나이가 들거나 건강에 문제가 심하면 사망할 수도 있다. 일간(日干)이 아니면 형제가 당할 수도 있다.

 

 

() 운을 만나면 해묘(亥卯) 목국(木局)이다. 인성(印星)이 변해 비겁(比劫)이 되어 인성(印星)이 사라지는 것이고 인성(印星)의 배신이 되기도 한다.

 

인성(印星)은 문서, 서류인데 보증을 서면 무조건 날아간다.

 

분실수도 많은데 학생이면 책 도둑을 잘 맞거나 책가방이라도 잘 잃어버리고 휴대폰이라도 잘 잃어버린다. 귀중품이 잘 사라진다.

 

인성(印星)이 비겁(比劫)으로 변해 선생이 친구처럼 보이기도 하고 공부를 한다고 도서관을 가도 친구와 같이 어울려서 간다.

 

인성(印星)은 부동산이요, 집이다. 집을 사도 남의 명의로 사는 것이고 집이 비겁(比劫)인 남의 명의로 넘어가는 운이 될 수도 있다.

 

 

() 운을 만나면 묘술(卯戌) ()이다. 비겁(比劫)과 재성(財星)의 합()이다. 돈이 들어오다가 엉뚱한 곳으로 사라진다. 받을 돈을 어떤 놈이 압류할 수도 있다.

 

배우자궁인 일지(日支)의 합()이라 배우자가 배신하기도 한다. 술토(戌土) 마누라가 비겁(比劫) 묘목(卯木)과 합()이 되어 바람나는 격이라 년놈이 짜고 재산을 빼 돌리거나 딴 주머니를 찰 수도 있다. 여자가 들어오는데 오다가다 잘 못 만난 여자 때문에 낭패를 보는 등 위험할 수도 있다.

 

 

() 운을 만나면 묘유(卯酉) ()으로 배우자궁의 충()이요 앉은 자리가 흔들리고 깨지는 운이다. 대운(大運)이 충()되면 십년 동안 흔들리는 것이고 년운(年運)이 충()되면 일년 동안 흔들리는 것이다. 일간(日干)의 뿌리가 날아가므로 일간(日干)의 다리가 부러지는 형상이다. 을목(乙木)도 부러지고 넘어지고 쫓기는 운이다. 지지(地支)에서 뿌리가 날아가면 천간(天干)은 자동적으로 날아가는 것이고 쓰러지게 된다. ()은 수족이라 수족이 다칠 수 있다. 급각살(急脚殺)과 연결되면 더욱 위험하다. 철사 줄에 꽁꽁 묶이는 운이라 불안하고 초조하다.

 

경금(庚金)을 만나도 합()으로 엮여 부부 궁이나 신상에 변동을 부른다.

 

특히 신유(申酉) 운을 만나면 간지(干支) ()이다. 아래위로 다 날아간다. 팔다리가 다 날아가고 부러지는 운이다. 만사 도로아미타불이요, 전부 다 깨진다. 인생이 엎어지고 뒤집어지는 운이다.

 

건강도 위험하고 사고수에 관재 등등 별의별 흉이 다 모인다. 건강은 주로 간담이나 신경 계통이다. 신경이 잘리고 끊어져 유통이 안된다. 신경이 끊기고 굳어 버린다. 신경마비와 풍으로 연결되기 쉽다.

 

뇌를 다치고 목을 다친다. 정신이 도망간다.

 

사전에 건강 보험을 챙기고 건강 검진을 받아 보는 것이 좋다.

 

사주(四柱)에 사화(巳火)가 있거나 진토(辰土)가 있으면 진유(辰酉) ()으로, 묘진(卯辰) ()으로 분산되어 충()의 작용이 완화된다고 보지만 진유(辰酉) ()이 되면 관살(官殺)인 금국(金局)이 되어 일간(日干)이 힘들어지고 사화(巳火)가 있어도 사유(巳酉) ()으로 금국(金局)이 되어 일간(日干)이 힘들어 진다.

 

()은 을목(乙木)이 가장 두려워하는 관살(官殺)이다.

 

진유(辰酉) ()이 되면 재성(財星) 진토(辰土)가 사라지게 되는 것이고 사유(巳酉) ()이 되면 식상(食傷)인 사화(巳火)가 사라지게 된다. ()으로 인한 희생이다.

 

재성(財星)이 사라지면 돈이 사라지는 것이고 마누라가 사라지는 것이다.

 

식상(食傷)이 사라지면 여명(女命)이면 자식이 사라지는 것이다.

'일주의 특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乙未日柱의 특성(特性)  (1) 2024.01.14
乙巳日柱의 특성(特性)  (1) 2024.01.09
乙丑日柱의 특성(特性)  (1) 2024.01.07
甲戌日柱의 특성(特性)  (1) 2024.01.06
甲申日柱의 특성(特性)  (5) 2024.01.05

사주 12지지 <亥水의 성정(性情)>

해수(亥水) [지장간(7, 7, 16)]

해수(亥水)10월의 기운이고 겨울이 시작되는 때로 양수(陽水)이고 호수가 되고 사수(死水)가 되며 천라지망(天羅地網)과 천문성(天門星)이 있는 글자이다. 930분부터 밤 1130분즈음의 시간대를 말한다.

 

지장간(地藏干) 속에 임수(壬水)와 갑목(甲木)이 있어서 외음(外陰)이지만 내양(內陽)이다. 따라서 체()는 음()이지만 용()은 양()이다.

 

육음(六陰)이 만물을 걷어들여 씨앗으로 만들기 시작한다()의 의미가 있으며 생명의 기틀이 뿌리에 보관되어 자수로 이어주는 역할을 한다.

 

해수(亥水)는 사람의 몸에 흐르는 혈액과 같아 충극(冲剋)을 받게 되면 고혈압, 중풍, 당뇨 등의 질병을 일으키며 큰 물로 호수, 바닷물, 강물 등을 상징하고, 갑목(甲木)의 생지(生地)가 되어 자수(子水)보다 활발하게 움직이는 수() 수생목(水生木)의 작용이 강()하며 인목(寅木)이나 묘목(卯木)을 만나면 목기(木氣) ()이 강()해지기 쉽다.

 

해수(亥水)는 생목(生木)을 잘 하고 극화(剋火)도 잘하는데 인목(寅木)과는 육합(六合)이 되며 생합(生合)이므로 목국(木局)으로 변하고 묘미(卯未)를 만나면 목국(木局) 삼합(三合)이 된다.

 

또 목()은 장생지(長生地)로서 충분히 목()을 키울 수 있어 해()를 소춘(小春)이라고까지 하고 있으며, 화지절궁(火之絶宮)이며 토()는 토류(土流)되고 금()은 병사(病死)로서 금침(金沈)되고 수()는 관왕(官旺)으로서 수()의 임무를 다할 수 있다.

 

()는 임수(壬水)이고, 양수(陽水)이다해수(亥水) 6음이다끝과 시작이 같이 붙어있어서 종점 및 변화의 시작점이다. 일을 마무리하려고 하면서도 여러가지 일도 시도한다. 파워풀, 액티브 하지만 번잡하다

 

천문으로 가는 전단계로 일을 많이 벌이지만 마무리도 잘한다.

 

해수(亥水) 육음(六陰)이다. 양문으로 향하므로 매사를 철저히 준비해야 변화에 문제없다.

 

일지(日支) 해수(亥水) 물의 특성상 순리지향적이다. 순한 맛이 있다. 유연성, 융통성이 있다그러나 욱하면 물이 치고 나가듯이 뒤집어버린다해수의 물은 대식가, 미식가도 많다. 능구렁이도 있다.

 

12성으로는 천수성(天壽星)으로 건강명이다. 다만찬물을 놓으니 기관지, 흉부가 약해지기 쉽다.

 

자축(子丑)과는 해자축(亥子丑)으로 북() 방합(方合)이 되고 사화(巳火)와는 충()이 되고 진토(辰土)와는 원진(怨嗔)이 된다.

 

식복과 재물복이 풍부해서 부자로 살지만 대체로 관운이 부족해서 귀함이 적으며 매사 욕심이 많아서 주위로부터 배척당하기 쉽고 중년 이후 재산이 늘게 된다. 중년 이후 위장병에 시달리므로 식사량의 조절이 필요하다.

 

여자의 경우도 부부 금슬은 좋지 못하고 난산을 하거나 유산을 하는 등의 애로사항이 발생하기도 하는데 자궁이나 생식기에 병이 많고 봄에 칼을 대는 수술을 하기도 한다.

 

평생 횡재운이 따르지만 부모형제 육친의 덕이 약하고 고독하다. 그래도 선천적으로 어려운 환경을 견디는 저력이 있으므로 극복하면서 살아간다.

 

중년부터 운이 좋아 재산을 불릴 수 있게 되는데 직업으로는 휴식이나 유흥 관련업, 외무, 무역, 외교에 적합하다.

사주 12지지 <戌土의 성정(性情)>

술토(戌土) [지장간(9, 3, 18)]

술토(戌土)9월의 기운(氣運)이고 만추(晩秋)이고 왕토(旺土)이며 산이고 제방이며 조토(燥土)이다. 천문성(天門星)과 괴강살(魁罡殺)도 가지고 있으며 술토(戌土)는 넓고 큰 바다를 막을 수 있는 힘을 가지고 있지만 조토(燥土)가 되니 토생금(土生金)을 못하고 인색하다.

 

무토(戊土)는 오음(五陰)의 기세로 양기(陽氣)를 몰아내니 양기(陽氣)가 숨어든다. 음기(陰氣)가 천지(天地)에 가득하여 만물이 본래의 모습으로 돌아 가려 하는 때이다.

 

한로(寒露)가 절입일(節入日)이 되며 초기 9일간은 신금(辛金)이 중기3일간은 정화(丁火)가 사령하다 상강(霜降)이 지나면서 토()의 기운이 왕성해지며 금()의 기운을 수()로 변화시키는 작용을 하게 된다.

 

술토(戌土)는 정화(丁火)를 간직한 건조한 토()로 화()의 문화적 활동의 바탕이 되는 곳으로 학교, 극장, 도서관 등을 나타내기도 하며 화기(火氣)를 보호하는 보온병이나 화로 같은 형상을 의미하기도 한다.

 

오화(午火)를 만나면 화()로 변화(變化)하기 쉬우며 수()를 만나면 수극화(水剋火)의 작용이 크고 목()을 만나면 극()을 받아 무너지기 쉬운 토()가 된다.

 

술토(戌土)는 하해(河海)라도 막을 수 있는 힘을 가지고 있으나 조토(燥土)가 되어 토생금(土生金)을 하기는 어렵다.

 

() 육합(六合) 되나 극합(剋合)으로써 합화(合化) 어려우며인오(寅午)와는 삼합(三合)으로 화국(火局) 되고신유(申酉)와는 방합(方合)으로 금국(金局) 되나 주중에 일점(一點) 화기(火氣) 없어야 한다

 

진토(辰土)는 충()하고 축미(丑未)와는 형살(刑殺)이 되는데 여기서 주의해야 할 것은 미술(未戌) ()은 같은 조토(燥土)의 형()이므로 왕자형발(旺者刑發)이 되니 토기(土氣)가 지나치게 건조하고 왕성해지므로 불미하다. 또한 사화(巳火)를 만나면 원진살(元嗔殺)이고 귀문관살(鬼門關殺)이 된다.

 

신유(申酉)와는 방합(方合)이 되어 금국(金局)이 되지만 주중(柱中)에 방합(方合)이 되려면 화기(火氣)가 하나도 없어야 한다.

 

()은 술토(戌土)를 만나면 조토(燥土)를 보는 것이므로 뿌리를 내릴 수가 없으므로 죽게 되고 화()는 술토(戌土)에 입묘(入墓)되고 토()는 왕성해지지만 조토(燥土)가 되는 것을 피할 수 없게 되고 금()은 술토(戌土)를 만나면 토생금(土生金)을 받는다고는 하지만 술토(戌土)는 조열(燥熱)한 조토(燥土)라서 제대로 생()받기 어렵고 또한 수()는 완전히 막혀버리게 된다.

 

동물로는 개에 해당하고 주인에게 충성을 다하는 것처럼 평소 책임감과 의리가 있는 사람이다. 겉으로 소심한 듯 보이지만 속으로는 상대를 은근히 얕보는 성정이 있고 야심과 자존심이 대단하다.

 

신세를 지면 반드시 갚으려는 보은 정신이 강하며 사() 또는 술()이 겹쳐 있으면 겉으로만 신의가 있고 인자할 뿐 마음속으로 상대를 원망하고 원한을 갖기 쉽다.

 

육친의 정에 굶주려 사람을 그리워하지만 상대가 접근하면 오히려 경계를 하여 냉정한 태도를 보이기도 한다.

이성의 교제도 빈번하여 화려한 것 같지만 가정은 쓸쓸하고 노년에도 고독한 시간이 이어질 수 있는 운명이다.

 

35세 이후 사상누각처럼 흩어지니 금전문제, 인간관계로 함정에 빠지게 되는데 사주가 편중되고 운이 따르지 않으면 수행이나 활인을 직업으로 삼아야 한다.

 

직업으로는 무언가를 지키는 것의 물상이므로 경비, 보안에 해당하고 금속, 무기를 다루는 직업이 좋다. 대장간, 보관업도 좋은 직종이다.

사주 12지지 <酉金의 성정(性情)>

유금(酉金) [지장간(10, 20)]

유금(酉金)은 팔월(八月)의 기운(氣運)이고 중추절(仲秋節)이고 음()의 금()이고 연금이고 생금이며 금, , 보석, 주철, 비철, 금속을 의미한다. 오후530분부터 730분경을 말하고 있으며 12지지 중에 가장 깨끗하고 아름다운 것이 酉金이다.

 

유금(酉金) 마음이 청백하고 깨끗하며 아름다운 사람숙살지기(肅殺之氣). 죽음. 기운이 강하다. 일도양단(一刀兩斷)하는데 목표를 정하면 끝까지 추구한다신념. 의지가 강하다. 천간(天干) 신금(辛金), 유금(酉金)은 약속을 중시한다. 한 말에 책임을 진다.

 

사음(四陰)의 강성한 음기(陰氣)가 양기(陽氣)를 압박하여 더욱 단단해지며 수기(水氣)가 뿌리로 하강하여 나뭇잎에 단풍이 들기 시작한다중순이 지나면서 신금(辛金)의 왕성한 기운이 형성되어 모든 과일이 결실을 맺게 되고 땅으로 떨어지게 된다.

 

유금(酉金)은 금()의 왕지(旺地)로 순수한 금()의 기운(氣運)이 뭉쳐 형성된 것으로 금속성 장신구, 무기 등을 나타내며 다 익은 과일 등을 변질시키는 세균이나 효소의 속성도 가지게 된다.

 

강력한 숙살지기(肅殺之氣)로 목()을 극()하며 순수한 금()으로 금생수(金生水)의 역할은 오히려 약()하다. 유월(酉月)에 사화(巳火)나 축토(丑土), 진토(辰土)를 보면 합()하여 금()의 기운이 강해진다.

 

진토(辰土)와는 진유(辰酉)로 합()하여 금국(金局)이 되고 사축(巳丑)과는 사유축(巳酉丑) 삼합(三合)으로 금국(金局)이 되고 신술(申戌)과는 신유술(申酉戌) 방합(方合)이 되어 금국(金局)이 되는데 유금(酉金)은 타오행(他五行)을 만나도 주인공이 되어 변하지 않는 특징이 있다.

 

묘목(卯木)과는 상충(相沖)하고 인목(寅木)과는 원진살(怨嗔殺)이 되며 또한 목()의 절지(絶地)가 되고 화()의 사궁(死宮)이 된다. ()는 누기(漏氣)가 되고 수()는 패지(敗地)가 되니 금생수(金生水)를 받으면 지나치게 물이 맑아서 고기가 살 수 없으니 흠이 되는 것이다.

 

유금(酉金)은 혼자서는 부드럽고 연약한 금()이지만 득국(得局)하게 되면 강한 금()이 되는데 투쟁 정신이 있어서 예리하고 급소를 잘 공격하고 의학, 언론에 재능을 발휘하게 된다.

 

일간(日干) ()은 천주교()는 기독교, () 유교(), ()는 도교로 보는데지지(地支) 유금(酉金)은 천주교가 많고, 불교[서방정토(西方淨土)]도 많다.

 

유금(酉金)은 현침(懸針)으로 몸이 아플 확률이 높다.

 

닭은 발가락으로 파헤치며 먹으니 파재(破財)의 의미가 있다재물이 모이면 반드시 쓸 곳이 생긴다백색의 순수함과 솔직하고 파헤치는 속성으로 비밀을 담보하기 어렵다. 말에 의한 화()가 있다(辛金 日干, 酉金 日支).

 

닭은 인()시에 우는데(계명성) 호랑이 인()-()는 원진(怨嗔)이다. , 띠를 비교하지 말고 일지(日支)를 비교하여 부부궁합을 본다계명성으로 일지(日支) ()는 정신적 지도자, 멘토, 상담역할을 잘한다.

 

성격은 화려하고 거침이 없으며 담백하고 처세가 깔끔하여 군더더기가 없는 사람인데 단점으로는 시작은 잘하지만 마무리가 약하며 속도는 더딘 편이므로 불만과 번민의 시절을 겪어야 한다.

 

겉과는 다르게 속으로 옹졸하고 소인배 같은 기질이 있으며 놀고먹으려는 기질이 있고 인품에 비해서 실력이 부족한 사람이 많은 편이다.

 

월일시(月日時)에 인(), (), () 글자 중에 하나라도 있으면 대부분 분수를 잘 지키는 사람입니다. , 장년기로 갈수록 풍모에 기품이 있게 된다.

 

운이 따르지 않으면 한번 성공하고 다시 실패를 반복하게 되는데 중년은 그냥 저냥 지낸다고 해도 노년에 병액(病厄)이 따르기도 한다.

 

직업으로는 쪼아서 구멍을 만드는 물살이므로 정밀기계, 군인, 경찰, 자르고 다듬는 인테리어, 유흥, 접객 서비스직에 잘 맞는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