乙丑日柱의 특성(特性)

지장간: (癸 辛 己) 偏財(偏印, 偏官, 偏財) 화개(華蓋), 묘지(墓地)
[
偏財 화개(華蓋), 官殺 입묘(入墓)]


청우(靑牛)이므로 푸른 소의 형상이다.

 

얼어붙은 동토 위의 처량하고 외로운 꽃 나무의 모습이다.

 

일간(日干) 을목(乙木)은 신금(辛金)이 내장된 축토(丑土) 위에 뿌리를 내리고 앉아 불안한 증세이므로 신경이 예민하고 조심성이 보이는데 이로 인해 까다롭고 질투심도 강하다. 축토(丑土)는 토질이 좋지 않아 나무를 심고 키우기에 불리하기 때문이다.

 

여명(女命)이면 남편궁인 일지(日支)를 극()하는데 위에서 남편을 깔고 앉아 이겨 먹으려고 하는 성분이다. 축토(丑土)는 지저분하고 얼어붙은 척박한 땅이므로 일간(日干)이 안전하게 뿌리를 내리고 자리 잡을 땅도 아니라 더욱 불만이다.

 

남명(男命)이면 마누라가 재물을 가지고 들어오는 팔자이다. 일지(日支) 축토(丑土)는 재성(財星)이라 마누라인데 마누라 토()가 자기 재성(財星)인 계수(癸水)를 품에 안고 들어온다.

 

관살(官殺)을 입묘(入墓) 시켰다. 관살(官殺)은 공무원이요 일간(日干)보다 높은 사람이요 일간(日干)을 관리하는 상사에 해당된다. 높은 사람을 가두어 놓고 취조하고 관리하는 형상이다. 심지어 이 사람이 동사무소에만 가도 공무원들이 고분고분 잘해 준다. 아무리 높은 사람이라도 이 사람 앞에서는 힘을 쓰지 못한다 축일(丑日)에 공무원을 만나거나 관공서에 가면 더 잘해준다.

 

여명(女命)이면 일지(日支)에 남편인 관살(官殺)의 묘지(墓地)라 남편 운이 불리하다. 남편 잡아먹는다는 팔자이다. 남편을 무덤 속에 가두어 두고 깔고 앉아 있다. 관살(官殺)이 입묘(入墓)되어 남편이 죽어 있는 것과 같으므로 남편 운이 좋지 않다는 것이고 남편의 건강부터 위험하다. 남편이 숨도 쉬기 어려울 정도로 갑갑하다. 남편의 건강이 위험하거나 심하면 남편이 골로 간다. 남편이 있어도 갇혀 있으므로 꼼짝을 못하고 머리를 들지 못한다. 남편을 꼼짝 못하게 하는 기질이요, 어떤 남자도 이 여자를 만나면 꼼짝 못한다. 남자 관리를 잘 하는 것이다. 죽은 남편이요, 남편 덕이 없으므로 남편에 대한 한()이 많다. 관살(官殺)이 재성(財星)에 입묘(入墓)되어 있기 때문이다.

 

남편의 힘든 팔자는 재성(財星)인 남편의 모친인 시모(媤母) 때문이기도 하다.

 

축토(丑土)는 관살(官殺)의 창고격 이기도 하는데 남자를 잘 끌어 모으는 재주가 있다.

 

남편은 뒷방에 처박아 두고 다른 남자들과 어울리느라 바쁘다. 여명(女命)이면 남자를 많이 필요로 하는 직업에서 유리할 수 있다.

 

관살(官殺)은 관공서이고, 공무원이다. 관공서 상대나 공무원을 상대하는 직업에도 인연이 있고 또한 유리할 수 있다.

 

관살(官殺)은 귀신인데 귀신도 꼼짝 못하고 귀신을 무서워 하지도 않는다. 화개에 갇힌 귀신이라 귀신을 물리치거나 내쫓는 무당이나 스님이면 유리하다. 일지(日支)가 꽁꽁 얼어 응결(凝結)되어 있다. 조후(調候)가 안되거나 따뜻한 식상(食傷)이 없으면 성적으로 남자를 좋아하지도 않는다.

 

역시 일지(日支) 편재(偏財)면 장사 수완이요, 재주를 잘 부리는 것인데 편재(偏財)가 투간(透干)되면 더한다. 한편으로는 빚을 져도 주머니에는 돈이 떨어지지 않는다. 돈이 보이면 일단 자기 돈처럼 쓰고 보는 성분도 있는데 일지 재성이 굳어 있어 근검 절약하는 성분도 있다. 심하면 구두쇠이다.

 

특히 화기(火氣)를 만나지 못하면 사주(四柱)가 냉하고 어두워 사치와는 거리가 멀기도 하고 외출도 잘하지 않는 폐쇄적인 면이 있으나 일단 발동이 걸리면 외식을 한번 해도 일류 호텔 레스토랑을 찾는 경향도 있다.

 

인덕이 없는데 너무 추워서 사람들이 가까이 다가오지 않는다. 차가운 축토(丑土)가 지나면 따뜻한 인목(寅木)이 온다. 기다릴 줄 알아야 한다.

 

꽃 나무는 봄을 만나야 하는데 아직 겨울이라 대기만성의 기운이다. 욕망은 있으나 운이 늦게 피는 팔자이다.

축토(丑土) 재성(財星)이 기신(忌神)이면 재물운에 풍파가 많다. 남명(男命)이면 색정(色情)에 휘말리면 손재(損財)하는 등 재앙을 만나기 쉽다. 작첩(作妾)하거나 주색에 빠져 일생을 망치는 경우도 많다. 여자를 만나도 얼음장 같은 냉혈인을 만나거나 재수 없으면 지저분하고 독이 있는 꽃뱀을 만나 물린다.

 

축토(丑土)에 얼어붙은 을목(乙木)이라 응결(凝結)성이 강하다. 응집(凝集)이다.

 

엉기어 뭉치고 굳어버리는 형상이다. 신경 계통이 굳어 말을 듣지 않는 것이다. 중풍을 비롯해서 자율신경의 마비를 부른다. 간이 굳으므로 간경화를 부르고 간암으로까지 연결된다. 조후(調候)가 필요하다.

 

조용하고 고상한 성품이면서 잡초 기질이라 인내심이 강하고 환경에 적응하는 능력은 탁월하다. 종교적인 학문 방면에 인연이 많다.

 

진술축미(辰戌丑未)는 잡기(雜氣)이다. 진술축미(辰戌丑未)가 재성(財星)이나 관살(官殺)이 되면서 사주가 잘 못 돌아가거나 인간적인 수양이 되지 안으면 잡스러운 사람이요, 아주 심하면 잡놈 잡년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진술축미(辰戌丑未)에 재성(財星)이나 관살(官殺)이 암장(暗藏)되어 있어도 마찬가지이고 일지(日支)면 더하다. 축토(丑土)면 더하다. 일지(日支) 편재(偏財)라 유통업에도 인연이고 부동산 관련업도 인연이다.

 

()이 입묘(入墓)되어 폐, 대장 기능이 부실하기 쉽다. 폐암, 대장암, 피부암 등이며 기관지 기능이 약해 숨을 쉬기 어려울 수 있다.

 

 

()운을 만나면 자축(子丑) ()으로 수국(水局)이 되어 축토(丑土)가 묶이는 것이고, 돈줄이 묶이는 것이고 수국(水局)에 유실되어 사라진다. 돈이나 마누라가 유실되거나 흔들린다. 돈이 묶인다면 자수(子水)인 인성(印星)이 원인이다. 서류에 도장을 잘못 찍은 것이다. 보증 잘못 선 탓이다. 모친 때문에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 냉기가 더 심해져 건강도 좋지 않다.

 

 

()운을 만나면 유금(酉金)이 금국(金局)이며 재성(財星)과 관살(官殺)이 합()으로 관살국(官殺局)이다.

관살(官殺)이 기신(忌神)이면 돈이 재앙을 부르는 운이다. 엎친데 덮친 격이다.

 

여명(女命)이면 시모(媤母)인 재성(財星)과 남편인 관살(官殺)이 연합해서 덜덜 떨고 있는 꽃나무의 목을 잘라 버리고 죽이려 드는 운이다.

 

남명(男命)이면 마누라가 재앙을 불러들이는 운이요, 처자식이 사람 잡는다. 심하면 돈이나 마누라 또는 여자 문제로 관재(官災)가 나고 감옥에 갈 수도 있다.

 

돈으로 공무원에게 뇌물 주었다가 쇠고랑을 찰 수도 있다.

 

돈으로 감투 샀다가 오히려 낭패 보는 운이다. 벌꿀 따 먹으려 다가 꿀은 맛도 못 보고 벌에 쏘여 팅팅 붓는 운이다.

 

무조건 돈 조심 여자 조심해야 하는 운이다.

 

 

()운을 만나면 축술(丑戌) ()인데 이것은 형액수요, 배신수이다. 땅 전쟁이요 돈 전쟁이다. 땅이 갈라지고 재성(財星)이 쪼개지고 흩어진다. 신약(身弱)하면 거지가 될 수도 있다. 부부운도 흔들린다.

 

 

()운을 만나면 축미(丑未) ()이다. 부부 인연이 바뀌어 교체되고 또한 재성(財星)이 형충(刑冲)되면 분주하기만 하고 돈이 잘 모이지 않는다.

 

특히 신미(辛未) 운을 만나면 간지(干支) ()이요, 천지(天地) ()이므로 하는일마다 되는 일이 없고 사고나 터지고 부부간에도 갈등이라 심하면 이별이다.

 

편관(偏官)이 일간(日干)의 목을 잘라 버린다. 귀신이 찾아와 같이 가자고 한다특히 여명(女命)이면 잡귀에 시달리거나 심하면 접신(接神)할 수도 있다.

 

편관(偏官)은 질병이라 몸이 많이 아프거나 심한 불면증을 겪을 수 있다.

 

을목(乙木)은 간이요, 신경이다. 간이 다치고 신경이 다치는 운이다.

 

()은 수족이다. 뇌의 신경으로 인하거나 사고로 수족이 다치기도 한다. 건강검진은 필수다. 물론 사전에 건강 보험에 가입하는 것도 반드시 필요하다.

'일주의 특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乙巳日柱의 특성(特性)  (1) 2024.01.09
乙卯日柱의 특성(特性)  (2) 2024.01.08
甲戌日柱의 특성(特性)  (1) 2024.01.06
甲申日柱의 특성(特性)  (5) 2024.01.05
甲午日柱의 특성(特性)  (1) 2024.01.0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