乙酉日柱의 특성(特性)

지장간: (庚 辛) 偏官(正官, 偏官) 將星, 正官 암합(暗合), 관살(官殺) 혼잡(混雜),
[
偏官 도화(桃花), 偏官 양인(羊刃)]

청계, 푸른 닭의 형상이고, 딱딱하고 단단한 바위 사이에 피어난 꽃이거나 작고 여린 풀 같은 모양이다. 생명력과 강인한 생존 능력을 엿볼 수 있다.

 

배우자 자리의 배우자가 일간(日干)을 극()하고 지배하려 한다. 배우자의 바가지 등살에 피곤할 수 있고 여명(女命)이면 일지(日支) 지장간(地藏干)의 경금(庚金)과 암합(暗合)하고 일지(日支) 지장간(地藏干)에 또 편관(偏官) 신금(辛金)이 있어 일지(日支) 관살(官殺) 혼잡(混雜)이라 남편궁이 혼잡하다. 결혼을 해도 숨겨두는 정부를 둘 수 있다. 연애 박사이기 쉽고 연애 결혼 인연이다.

 

남편의 의처증을 부르는 팔자인데 돌멩이 위의 화초라 뿌리를 내리지 못해 언제든 자리를 옮길 수 있다. 항상 남자가 따라 다니는 것으로 남자 인연이 복잡해 진다.

 

여명(女命)에 일지(日支) 편관(偏官)이거나 일간(日干) 옆에 편관(偏官)이 붙으면 강제 결혼이거나 억지 결혼이 많다. 정식 결혼도 아닌 동거인 경우도 많은데 편인(偏印)이나 편관(偏官)이 강하면 사기 결혼에 걸려드는 경우도 많다. 편관(偏官)이 투간(透干)까지 되면 강간을 당하기도 한다. 성격상 간담이 약한 편이다.

 

을목(乙木) 꽃이 날카로운 칼 위에 앉아 인생이 항상 불안불안하고 바늘 방석이다. 날카롭고 신경질적이므로 신경쇠약증이다. 혈색도 건강하지 못하고 핼쑥한 경우가 많다.

 

가을 바위틈에 핀 화초의 형상으로 아름답고 고결한 형상이나 뿌리를 제대로 내리지 못해 외롭고 쓸쓸한 향기가 감도는 형상이다.

 

건강도 부실하기 쉽고 마음도 여리고 간도 작다. 배포도 없다.

 

특히 간담 계열이나 신경 계열의 건강이 위험하고 뇌질환이라 중풍이다.

 

신경이 끊기거나 마비되는 형상으로 금()이 왕()하면 더 위험하다.

 

그러나 결정적인 사태를 만나면 간덩이가 커진다. 목숨을 걸기도 하고 밀어 붙이기도 하는데 태약(太弱)한 사주의 특징이다. 더 이상 잃을 것도 없는 사람이 가장 무서운 사람이 될 수 있다. 편관(偏官)은 호랑이인데 궁지에 몰리면 목숨을 걸고 호랑이를 물어 뜯으려 한다.

 

유순한 성품에 지구력이 강한 듯하면서도 약하다. 순간적으로 급속하게 생각과 행동이 바뀌는 습관이 있다. 순간적인 폭발성이다.

 

재치와 지능이 뛰어난 편으로 눈치가 빠르며 두뇌 활동을 잠시도 쉬지 않는다. 절지(絶地)에 앉아 신약(身弱)해서 꿈을 펼치기는 어렵다.

 

앉은 자리가 불안해 항상 주위를 살피는 습관이 있다. 엉덩이를 한 자리에 오래 붙이고 앉아 있기도 어렵다. 날카로운 칼 위에 앉아 정서가 불안정하고 언행이 다른 경우도 많다. 항상 불안한 인생이다.

 

성급하고 경솔한 면도 있고, 체면과 자존심 때문에 허세와 허풍도 강하다. 이것은 허약한 자신을 포장하기 위함이다.

 

체면이나 명예를 중시하는 자존심으로 인한 사치와 허영심을 조절하지 못해 자신을 몰락시키는 경우도 있다. 생활력도 사회성도 약하다.

 

내성적이면서 활동력이 약하므로 자립성이 부족하고 남에게 의지, 의존하는 성향이다. 심하면 혼자 독서나 즐기면서 고독을 먹고 사는 외톨박이 성분이 된다. 더 심하면 폐쇄증(閉鎖症)으로 폐인이 된다.

 

자학성(自虐性)이 발동되어 자살을 기도하는 경우도 있다.

 

여명(女命)이면 첩 팔자가 많은데 남편은 퇴근 시간인 유시(酉時)에 왔다가 간다.

 

몸가짐이 깔끔하고 화려한 것을 좋아하는 성향에 미적(美的)인 감각이 풍부하다. 예술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기도 하는데 그것도 일간(日干)이 튼튼해야 한다. 신약(身弱)하면 모든 것을 꿈 속이나 이불 속에서 이룬다. 준비도 없이 결과만 상상하는 성분이다.

 

뿌리가 없는 모든 천간(天干)의 육신 육친은 앉을 자리가 없으므로 항상 서서 서성대는 형상이다. 따라서 떠날 궁리만 한다. 뜬 구름이다.

 

운에서 들어오는 천간(天干)도 뿌리가 없이 들어오면 떠나기 위해 들어오는 오행(五行)이요 육신(六神)이요 육친(六親)이다.

 

특히 신경 계열에 조심해야 한다. 을목(乙木)은 간이요, 신경이요, 두뇌이다.

 

을목(乙木)이 지지(地支) 유금(酉金)에 의해 파극(破剋)된다. 신경통이요, 뇌졸증이요, 중풍이다.

 

간암을 부를 수도 있고 수족이 다칠 수도 있다. ()이 강하면 더욱 위험하다. 탈모 증세가 있고 짧은 머리 스타일을 좋아하기도 한다.

 

 

() 운을 만나면 진유(辰酉) 금국(金局)이 된다. 재성(財星)이 합()으로 들어온다. 돈이 들어오는 운이다. 여자도 들어오고 땅이 굴러 들어오는 운이다.

 

그러나 일간(日干)이 신약(身弱)하거나 잘 못 연결되면 돈도 여자도 일간(日干)을 잡아 먹는 귀신이요, 재앙이 된다. 재성(財星) 진토(辰土)가 들어오면서 유금(酉金)과 합()으로 금국(金局)이 되고 관살국(官殺局)이 된다. 재생관(財生官)으로 관살(官殺)이 되어 일간(日干)을 쳐버린다.

 

남명(男命)이면 처자식이 합세해서 일간(日干)을 괴롭히는 형상이다. 마누라가 자식을 부추기고 꼬드기는 형상이다. 아비를 쳐 버리라고

 

여명(女命)이면 서방과 시어미가 합세해서 일간(日干)을 괴롭히는 형국이 된다. 시어미가 자기 자식인 일간(日干)의 남편을 부추긴다. 마누라를 쳐 버리라고

 

을목(乙木) 일간(日干)이 다치므로 신경 계통의 질환부터 나타난다.

 

진토(辰土) 재성(財星)은 사라지고 보이지 않는다. 배후에서 조종을 다 해놓고 뒤로 빠져버린다. 진토(辰土)가 배후의 교사범이다.

 

그러잖아도 날카로운 자갈밭인 유금(酉金)에 앉아 뿌리를 내리지 못하고 안절부절인 일간(日干)이다. 시퍼런 칼 위에 앉아 불안해서 잠도 제대로 잘 수 없는 팔자로 태어난 을목(乙木)이다. () 운을 만나도 마찬가지이다.

 

특히 신축(辛丑)운을 만나면 심각하다. 을신(乙辛) ()이다. 편관(偏官)인 신금(辛金) 귀신에게 잡혀 갈 수도 있다. 수족을 다치거나 두통에 신경통, 관절통, 중풍 등등 신경이 말을 듣지 않아 움직이지 못하고 드러누울 수도 있다.

 

신금(辛金)을 합()이나 충()으로 제거하는 병정(丙丁) ()가 없으면 목숨이 위태롭다.

 

()는 식상(食傷)인데 무조건 화()를 동원해야 목숨을 부지할 수 있다.

 

남명(男命)이면 자식을 장모나 조모에게 맡겨야 한다. 마누라와 자식 좀 어떻게 해 달라고 매달려야 한다. 후배나 아랫사람을 동원해야 한다.

 

여명(女命)이면 자식을 방패막이로 앞 세워야 살아날 수 있다.

 

축토(丑土)에 관살(官殺) 입묘(入墓)되어 여명(女命)이면 남편이 병원 입원이라도 할 수 있다.

 

() 운을 만나면 사유(巳酉) 금국(金局)이다. 식상(食傷)과 관살(官殺)이 합()으로 관살국(官殺局)이다.

 

식상(食傷) 사화(巳火)는 보이지 않고 관살(官殺)만 강해진다. 사화(巳火)는 관살(官殺)에 흡수되어 변한다. 식상(食傷) ()는 금()과 한 패거리가 되어 금() 관살(官殺) 행세를 한다.

 

후배나 아랫사람이 나타나 승진해서 일간(日干)의 상사가 되어 일간(日干)을 종 부리듯 한다. 식상(食傷) 사화(巳火)는 일간(日干)이 가르치고 관리하던 후배이다.

 

여명(女命)이면 자식이 온갖 간섭 다하며 서방 노릇까지 하려고 한다.

 

식상(食傷) 사화(巳火) 중에 정관(正官) 경금(庚金)과 을경(乙庚) 암합(暗合)으로 연애한다. 자식 인연으로 만나는 남자이다. 사화(巳火)는 역마지살(驛馬地殺)이다. 여행가서 만나는 남자와 연애하는 수도 있다. 밖으로 나가 돌아다니면 남자가 따라 붙는다.

 

 

() 운을 만나면 묘유(卯酉) ()이다. 묘목(卯木)이 들어와 일지(日支) 유금(酉金)과 자리바꿈을 한다. 부부 갈등이고 부부간에 전쟁이며, 심하면 부부 이별이다.

 

여명(女命)이면 서방인 관살(官殺) 유금(酉金)이 다른 여자인 비겁(比劫) 묘목(卯木)을 을경(乙庚) ()으로 암합(暗合)해서 끌고 들어온다. 부부 사이에는 금이 가고 서방이 다른 여자와 바람나는 운이다. 일지(日支)로 들어오는 여자라 다른 여자를 안방까지 끌고 들어올 수도 있는 운이다.

'일주의 특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乙未日柱의 특성(特性)  (1) 2024.01.14
乙巳日柱의 특성(特性)  (1) 2024.01.09
乙卯日柱의 특성(特性)  (2) 2024.01.08
乙丑日柱의 특성(特性)  (1) 2024.01.07
甲戌日柱의 특성(特性)  (1) 2024.01.06

乙未日柱의 특성(特性)

지장간: (丁 乙 己) 偏財(食神, 比肩, 偏財) 화개(華蓋), 백호(白虎), 묘지(墓地)
[
偏財 화개(華蓋), 比劫 입묘(入墓), 日干 입묘(入墓)]

청양(靑羊)으로 푸른 양의 형상이다. 양이 초원에서 풀을 뜯고 있는 물상이다.

 

가정적이기는 하지만 일주(日柱) 편재(偏財)가 백호살(白虎殺)이라 처궁(妻宮)의 처성(妻星)이 백호(白虎)라고 해서 남편이나 사윗감으로 꺼리기도 한다. 자신이 백호에 걸리고 부친이나 마누라가 백호에 걸리기도 하는데 이 남자에게 시집가면 위험해지는 것이고 이런 자식을 두는 아비도 위험하게 되는 것이다. 남명(男命)이면 마누라가 열 받아 특히 간이 열 받아 뒤집히면 음독할 수도 있다. 미토(未土) 불구덩이 속의 을미(乙未) 간이 열 받아 타들어 간다. 간염이다.

 

처복이 없는 것이고 여난을 겪을 수밖에 없는 팔자이다.

 

한여름의 꽃밭에 화려하게 핀 꽃나무로 벌 나비가 날아드는 아름다운 형상이다. 고상하고 유연해 보이지만 조급한 면이 있어 매사에 서두르는 성품이다. 외형적으로는 단아하고 단정한 모습이다.

 

여명이면 남편궁인 일지(日支)를 극()한다. 위에서 남편을 깔고 앉아 이겨 먹으려고 하는 성분이다. 미토(未土)는 물 한 방울 없는 뜨거운 땅이라 일간(日干)이 안전하게 뿌리를 내리고 자리 잡을 땅도 못된다. 자리를 잡기는커녕 타 죽을 지경이다.

 

남편에 불만이 많은데 서로 불만이다.

 

일지(日支) 재성(財星)이 화개(華蓋)이다. 종교성이 강한 마누라를 만나기 쉽고 마누라는 나이에 비해 좀 늙어 보이기도 한다. 물론 본인도 불에 탄 고목이라 나이에 비해 늙어 보이기도 한다. 아니면 나이가 많은 여자다.

 

화개를 달고 앉아 종교성이 강하다. 물론 마누라도 종교성이 강하다. 화개(華蓋)가 재성(財星)이라 부처님이 돈으로 보이고 종교적인 관계를 이용해 돈을 벌기도 한다. 종교나 무속 용품점이라도 한다. 을미(乙未)는 여름 대나무를 땅에 꽂은 형상이 되어 무속 인연으로 연결되기도 한다.

 

일지에 자기 묘지를 깔고 앉으면 사물의 원리에 대한 궁리를 잘하고 어떤 문제를 만나면 깊이 파고드는 성분을 가지고 있다. 지지(地支)에 용신(用神)이 입묘(入墓)돼도 파고드는 성분이 강하고, 소심한 성격이면서도 성실하고 치밀하다. 조심성이 지나쳐 꼬물거리는 성품으로 답답한 느낌을 주기도 한다. 소심한 내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사소한 일에까지 과민하다.

 

그 때문에 스스로 고통을 당하거나 심하면 질병을 유발하기도 한다.

 

체격이 아담한 경우가 많은데 소화력이 약하고 건강이 부실하다. 자기 입묘지(入墓地)에 앉은 탓이다. 미토(未土)는 재성(財星)이라 마누라인데 마누라에 갇혀있는 형상이다. 마누라 때문에 죽을 지경이다. 마누라 때문에 꼼짝달싹 할 수 없고 활동에도 제약을 받는다. 건강이 나빠지는 것도 마누라 때문이고 목숨이 왔다 갔다 하는 것도 마누라 때문이다.

 

지지에 비견이 암장되어 친구나 주위의 지인으로 인해 손재가 따르기 쉬우므로 특히 사업관계에서는 선배나 상사의 조언을 듣는 것이 좋다.

 

일간(日干) 자체가 자기 묘지(墓地)위에 핀 꽃이다. 늙은 고목에 해당된다. 부부간에 생사별수(生死別數) 있는 조짐이다.

 

을목(乙木)은 춤추고 노래하는 가무(歌舞)에 일가견이 있다. 잘 한다. 감각적인 능력이 뛰어나 연구나 예능 분야에 탁월한 재능을 발휘하기도 하지만 이해타산적인 면이 강해 오히려 실속이 없는 경우도 많다.

 

간 기능이 허약하고 특히 간염에 주의해야한다. 간이 뜨거운 불구덩이 속에서 타고 있다. 간경화로 연결되고 간암으로 까지 발전될 수 있다. 뜨거우면 불탈 염()이요, 차가우면 굳을 경()이다.

 

 

() 운을 만나면 비겁(比劫)이 묘미(卯未) 목국(木局)되어 비겁(比劫)으로 변해 미토(未土) 재성(財星)은 사라진다. 재성(財星)이 나가고 비겁(比劫)이 들어온다. 있던 돈이 날아가는 운이요, 마누라가 딴 놈과 바람나 날아가는 운이다. 이혼수에 걸리는 것인데 비겁국(比劫局)이 되어 마누라가 도둑이요 마누라가 돈 보따리 들고 튀게 된다. 이혼하면 위자료를 줘야 한다. 다른 문제로 라도 손재수가 일어난다. 비겁(比劫)은 도둑이다.

 

일간(日干)이 뿌리 내리고 뿌리 박아 놓은 일간(日干)의 땅에 엉뚱한 놈이 자기 땅이라고 말뚝을 박는 운이다. 군비쟁재(群比爭財)의 작용도 일어난다.

 

믿었던 마누라나 여자가 변심하고 배신해서 도둑으로 변하는 운이다.

 

미토(未土) 재성(財星)은 오리발 내밀고 뒤로 슬그머니 빠진다. 미토(未土) 재성(財星)이 배후요, 도둑 맞은 원인 제공자이다.

 

비겁(比劫)이 들어오므로 형제나 옛 친구가 찾아오기도 한다.

 

 

() 운을 만나면 오미 합으로 화국되어 미토 재성이 사라진다. 재성이 합이 되어 식상으로 변하는데 재성은 떠나고 식상만 남는다.

 

그러나 화국(火局)이 되어 다시 화생토(火生土)하므로 돌아온다. 잃어버린 돈도 돌아오고 집 나간 마누라도 돌아온다. 마누라가 돌아오면서 장모까지 데리고 들어오게 되고 식상(食傷)은 지출이므로 마누라의 낭비성이 심해진다.

 

마누라가 아이들 모아 보호하고 가르치는 일을 하면 좋을 수 있다.

 

여명(女命)이라도 아이들을 모아 가르치고 보호하는 일에 인연이고 아니면 자식이 돈 벌어 주는 운이 되기도 한다.

 

식상(食傷)으로 어우러져 재성(財星)을 생하므로 아랫사람이나 종업원이 돈 벌어 준다.

 

투자하면 돈이 된다. 스님이면 신도가 신도를 몰고 온다. 신도가 돈을 몰고 온다. 상좌가 여자를 꼬셔다가 바치기도 한다. 제자나 종업원이 돈을 벌어 준다. 물론 신강(身强)하고 조후(調候)가 돼야 한다.

 

 

() 운을 만나면 축미(丑未) ()이다. 일간(日干)이 뿌린 내린 근거지가 깨지고 파괴된다. 불안한 운이다. 안절부절이다. 이동 운이다.

 

재성(財星)끼리의 충()이다. 돈과 돈의 충()이요 여자와 여자의 충()이다. 돈이 깨져 잘 모이지 도 않고 오히려 목돈이 푼돈 되어 사라지기 쉬운 운이다. 재성(財星)이 용신(用神)이면 헌 돈이 나가고 새 돈이 들어오는 운이 될 수도 있다.

 

배우자궁의 충()이라 배우자가 바뀌는 운이다. 헌 여자가 나가고 새 여자가 들어오는 운이다. 새 여자가 들어와도 옥토(沃土)가 아닌 축토(丑土)가 들어오므로 깨끗한 요조숙녀 여자를 만나기는 어렵다.

 

돈 전쟁이요, 여자 전쟁이요, 땅 전쟁이다. 부동산 교환이다.

 

묘지(墓地)가 충()이다. 무덤이 열린다. 무덤에서 나올 수도 있고 무덤으로 들어갈 수도 있다. 어두운 무덤 속을 빠져 나올 수도 있으므로 새로운 세상을 만나는 운이다. 그러나 잘 나가던 사람은 오히려 캄캄한 어둠 속으로 빠져 들어가기도 한다.

 

 

() 운을 만나면 술미(戌未) ()이다. 흔들린다. 안정을 찾기 어렵다.

 

여자 문제나 돈 문제로 정신이 없다. 배신을 당하는 운이요, 사고수나 형액수에 걸리기도 한다. 특히 돈이나 여자의 배신이다.

 

축미(丑未) () 운의 작용과 비슷하다.

 

진술축미(辰戌丑未)의 형() ()은 배신으로 연결되는 경우가 많다. 배신이나 사기에 걸리려면 서로 상대가 있어야 한다. 사기 치거나 배신한 놈이 있어야 사기 당하거나 배신당한 놈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사기 치거나 배신했다는 놈은 없고 사기 당하거나 배신당했다는 놈만 있을 뿐이다.

 

사기 치거나 배신하는 놈 사주와 사기 당하거나 배신당하는 놈 사주가 같다. 사주를 감정 할 때도 참고해야 한다. 감정하러 온 상대를 사기꾼이나 배신자라고 하면 절대 수긍하지 않는다. 인간이 그렇다.

'일주의 특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乙酉日柱의 특성(特性)  (2) 2024.01.20
乙巳日柱의 특성(特性)  (1) 2024.01.09
乙卯日柱의 특성(特性)  (2) 2024.01.08
乙丑日柱의 특성(特性)  (1) 2024.01.07
甲戌日柱의 특성(特性)  (1) 2024.01.06

乙巳日柱의 특성(特性)

지장간: (戊 庚 丙) 傷官(正財, 正官, 傷官) 地殺, 나체도화(裸體挑花), 正官 암합(暗合),
[
傷官 역마(驛馬), 傷官 망신(亡身), 傷官 겁살(劫殺)]

청사(靑巳)로 푸른 뱀의 형상이다. 다르게 보면 머리에 꽃을 달고 있는 뱀으로 꽃뱀으로 표현되기도 하는데 그런 에너지를 상징하는 의미로 보면 된다.

 

융통성이 좋고 머리회전이 빠르니 교만하고 잘난 척을 하게 된다. 인기가 많다 가도 허영과 자만심이 지나쳐서 잘난 척을 하게 되니 사람들의 원망과 시기를 받게 된다. 마음의 수양을 게을리하면 안된다.

 

일확천금을 노리기도 하는 총명한 사람이다. 여명(女命)이면 일지(日支) 지장간(地藏干)인 경금(庚金)과 암합(暗合)하여 연애도 잘하고 연애결혼을 합니다. 남편의 의처증을 부르기 쉬운 팔자이다. 결혼도 하기 전에 속도위반을 할 수도 있고 혼전 임신까지도 할 수 있다. 아니면 자식 딸린 남자와 인연이다.

 

사화(巳火)에는 경금(庚金)이라는 관살(官殺) 남자와 병화(丙火)라는 식상(食傷)이 자식이 같이 있다. 경금(庚金) 남자를 만나 합()을 하면 동시에 임신을 하기 쉬운 팔자이다. 남자 콧김만 쏘여도 임신이 될 정도로 임신을 잘한다. 처녀나 유부녀의 부정 임신으로 연결된다. 유부남이 만나 연애하기에는 위험이 따르는 여자다. 물론 임신이 잘 되기 위해서는 조후(調候)가 중화(中和)를 이루어야 한다. 정상적인 임신은 조후(調候)의 중화(中和)가 절대적이다.

 

()이 많아 거절도 잘 못한다. 정조가 약한 것이다. 다정이 병이다.

 

사화(巳火) 중의 병화(丙火)가 식상(食傷)으로 자식인데 지장간(地藏干)에 경금(庚金) 정관(正官)과 같이 있다. 암장(暗藏)된 정관(正官) 경금(庚金)과 암합(暗合)된다. 외간 남자요, 애인이다. 자식을 통해 만나는 경금(庚金)이다. 자식 때문에 애인이 생길 수 있다. 학교 행사나 학교 봉사활동 한다고 나돌아 다니다가 선생과 눈이 맞아 인연이 생기는 꼴이다. 자식이 엄마 애인 만들어 주거나 엄마 시집 보내주는 꼴이다. 자식 핑계를 대므로 들킬 우려도 적다. 암합(暗合)되어 귀신도 모른다.

 

지장간(地藏干)에 무토(戊土) 재성(財星)이 경금(庚金) 관살(官殺)을 생한다. 애인에게 돈이 들어가는 것이고 심하면 돈으로 남자를 유혹하는 형상으로도 연결된다.

 

그러나 해수(亥水) ()을 만나면 사해(巳亥) ()으로 들통나게 된다. 애인과 바닷가에 가서 재미를 보다가 들통 나기 쉽다. 해수(亥水)는 바다이다.

 

사화(巳火)는 역마살(驛馬殺)인데 여행중에 남자를 만나거나 자동차 안에서 정관(正官)과 암합(暗合)을 하는 형상이다. 특히 해수(亥水)를 만나면 사해(巳亥) ()이라 흔들리는 자동차에서 흔들리면서 남자와 정사를 나누는 모양이 된다.

 

사화(巳火) ()을 만나도 요상한 사랑을 나눌 수가 있지만 사해(巳亥) ()이면 들통나게 된다. 신금(申金)운을 만나도 이런 일이 벌어질 수 있다.

 

신금(申金)은 역마지살(驛馬地殺)이다. 여행이요, 자동차요, 기차이다. 신금(申金) 중의 경금(庚金) 남자와 암합(暗合)이다. 무신(戊申) 운이면 산에 등산 갔다가 남자 만나 일을 저지를 수도 있다. 임신(壬申)운이면 바다에 여행 갔다가 사고를 칠 수도 있다.

 

부하직원이나 연하의 남자와 사단을 벌일 수도 있다. 식상(食傷)은 아랫사람이다. 자식 같은 또래이다. 이래저래 바람기가 많은 팔자다.

 

남명(男命)이라도 마찬가지다. 지장간(地藏干)에 정관(正官)인 경금(庚金) 자식과 정재(正財)인 무토(戊土) 여자가 같이 들어온다. 여자만 만나면 임신이 잘 된다. 혼전 득자(得子)에 걸리기도 하고 자식 딸린 여자와 인연 이기도 하다.

 

여명(女命)이면 배우자 궁인 일지(日支)에 상관(傷官)이 차고 앉아 관살(官殺)을 극()하여 내쫓으므로 부부 운은 불리하다. 특히 식상(食傷)인 자식을 낳고 나면 부부간에 한랭전선이 형성된다. 남편을 멀리하고 배척하고 무시하고 깔보는 것이다. 심하면 별거요, 더 심하면 파탄 나고 이별이다.

 

식상(食傷)이 용신(用神)이라고 해도 부부관계는 도루묵이고 다른 남자와의 관계에서는 식상(食傷)이 용신(用神) 기능을 훌륭하게 발휘하는 묘한 작용을 한다. 부부간에는 서로 불만 불평이 많아 밀어내면서 밖에서 다른 남자를 만나면 식상의 작용으로 싹싹한 친절과 호감을 보여 애정을 느끼도록 유혹하는 향기를 뿜어내는 성분을 가지고 있다. 식상(食傷)은 남자를 유혹하는 향기이고, 도구이다.

 

미남, 미녀로 아름다운 용모에 피부가 곱고 예술적인 감각도 뛰어나다.

 

지지(地支)에 병화(丙火)가 있어 아름답게 활짝 핀 꽃으로 속살이 곱고 예쁜 편이다. 속에 꽃이 핀 격이다. 명예욕과 성취욕도 대단하다.

 

배우자궁인 일지(日支)에 식상(食傷)이면 배우자를 챙기고 배려하는 기본 성분은 있다. 남명(男命)이면 마누라 재성(財星)을 극해 패대기를 쳤다가도 뒤에서 달래고 선물이라도 슬그머니 내미는 형상이다. 병 주고 약 주는 형상이다.

 

남명(男命)이면 장모를 모시고 살거나 처가와 가까이 사는 경우가 많다.

 

특히 여명(女命)이면 허영과 사치성이 강하지만 재물에 대한 욕심도 있는 실속형이다. 비서 체질이요, 예쁜 첩의 기질이 다분하다.

 

서비스의 달인이지만 속셈이 있는 서비스이다. 식상(食傷) 사화(巳火)가 재성(財星) ()를 생해서 물고 오라는 서비스이다. 결국 최종 목표는 돈이다.

 

부드럽고 유연해 보이지만 내면적으로는 자만심이 강해 주위의 사랑과 부러움이 원망과 비난으로 변할 수도 있다.

 

향기가 진동하는 화사한 꽃이라 벌과 나비들이 모여들어 인기는 좋은데 바람 따라 흔들릴 수밖에 없는 꽃이라 애정 관계에서 주관을 잃어 스스로 불행을 자초하는 팔자가 되기 쉽다.

 

애정 문제나 가정에 파란이 많이 따르기 쉬운 성향으로 배우자 외에 숨겨두는 인연이 있거나 생활비를 받고 사는 첩이나 현지처가 되기도 한다.

 

남명(男命)이라도 수양이 따르지 않으면 가정을 지키기 어렵다.

 

조후(調候)가 되지 않고 을목(乙木)이 뜨거운 열기에 불타면 간염(肝炎)이다. 간염은 간경화로 연결되고 간암으로 발전된다.

 

을목(乙木) 털을 사화(巳火) 불로 굽고 지지는 형상이라 곱슬머리가 많다.

 

머리를 지지고 볶는 미용사에도 인연이다.

 

여명(女命)에서 천간(天干)이나 지장간(地藏干)으로 경금(庚金)을 또 만나면 합()이나 암합(暗合)이 되어 애인이 있는데 또 애인이 생기는 운이 될 수 있다.

 

() 운을 만나면 사유(巳酉) 금국(金局)이다. 식상(食傷)과 관살(官殺)이 합()으로 관살국(官殺局)이 된다. 식상(食傷)은 사라지므로 보이지 않고 관살(官殺)만 강해져 남는다. 일간(日干)의 관리를 받으면서 일간(日干)이 가르치고 키운 식상(食傷) 아랫사람이나 후배가 관살(官殺)로 변해 일간(日干)의 윗자리에 앉아 오히려 일간(日干)을 지휘하는 형국이 돼 버린다. 입장이 거꾸로 뒤집힌 것이다. 관살(官殺) 금국(金局)으로 일간(日干)을 극()한다. 안면을 싹 바꾸고 옛날 인연도 싹 바꾸고 일간(日干)을 다그치는 형상이다.

 

일간(日干)을 나무 위에 올려 놓고 흔들어 대기까지 한다. 아랫사람의 반항이요, 하극상이요, 배신으로 연결될 수 있다. 환장할 노릇이다.

 

관살(官殺)이 용신(用神)이면 후배나 아랫사람 때문에 승진하는 운이 되기도 한다.

 

여명(女命)이면 자식 때문에 애인이 생기는 운이다. 식상(食傷)이 관살(官殺)을 합()으로 끌고 들어와 자식이 연결해주는 남자다. 주로 자식과 관계 있는 남자와 만나 연애를 한다.

 

사화(巳火) 식상(食傷)에 있는 정관(正官) 경금(庚金)과 암합(暗合)인데 또 관살(官殺)이 들어와 암합(暗合)을 한다. 애인이 있는데 또 애인이 생긴다. 식상(食傷)이 엄청 바빠지는 운이다. 교대로 합하느라 식상(食傷)이 쉴 시간이 없다.

 

자궁, 유방인 식상(食傷)이 남자인 관살(官殺)과 합()하므로 확실한 합궁(合宮)이다.


() 운을 만나면 사유(巳酉) ()이다. 식상(食傷)과 관살(官殺)의 형()이다. 신금(申金) 중의 경금(庚金)과 암합(暗合)이다. 신금(申金)은 역마지살(驛馬地殺)이라 여행길이나 돌아다니다가 만나는 남자와 자동차안에서 합()을 하는 형상이다. 형이라 들통나고 형액(刑厄)수에 걸리기 쉽다.

 

을사일주(乙巳日柱) 여명(女命)은 남자 인연이 복잡할 수밖에 없다.


() 운을 만나면 사해(巳亥) ()이다. 인성(印星)과 식상(食傷)의 충()이다. 부부궁의 충()이다. 이별이다. 바람 피우다가 들통나는 운이다.

 

여명(女命)이면 자식이 다치거나 사고를 치기도 한다.

'일주의 특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乙酉日柱의 특성(特性)  (2) 2024.01.20
乙未日柱의 특성(特性)  (1) 2024.01.14
乙卯日柱의 특성(特性)  (2) 2024.01.08
乙丑日柱의 특성(特性)  (1) 2024.01.07
甲戌日柱의 특성(特性)  (1) 2024.01.06

乙卯日柱의 특성(特性)

지장간: (甲 乙) 比肩(劫財, 比肩) 장성(將星), 현침(懸針) 日柱, 比劫 혼잡(混雜)
[
比肩 羊刃, 比肩 桃花]

청토(靑兎)이므로 푸른 토끼의 형상이다.

 

간지(干支)로는 여린 나무라 겉으로는 순박해 보이고 유약해 보이나 속 고집이 강하다. 뿌리가 튼튼해 외부의 환경이나 유혹에 쉽게 흔들리지 않으며 강직하다. 남이야 죽든 말든 세상을 자기 위주로 사는 경우가 많은데 천간(天干) 지지(地支) 오행(五行)이 같은 간지동(干支同)이거나 일지(日支) 인성(印星)인 경우의 특성이다.

 

너무 신강(身强)한 사주도 자기밖에 모르는 독선적인 성향이 강하다.

 

을목(乙木)은 음악 좋아하고 화()를 좋아하고 금()을 싫어하고 가을을 싫어하는데 금()을 싫어하면서도 을경(乙庚) ()으로 엮여 들어간다.

 

외유내강형으로 음()이면서 양()처럼 행세하기도 한다.

 

매서운 성품이 지나치면 독성(毒性)을 품은 무서운 기질이 되기도 하고 일지(日支) 비견(比肩)이라 부부궁이 불안한데 비겁(比劫)은 친구이니 좋을 때는 협력이 잘 되지만 쟁투(爭鬪)가 벌어지면 전쟁을 방불케 한다. 애틋한 사랑도 없고 서로 배우자에 대한 존경도 없다.

 

을목(乙木)도 도화(桃花) 성분이요, 묘목(卯木)도 도화(桃花)성분이다. 을묘(乙卯) ()은 매서운 바람 성분이다. 강한 도화(桃花)성이 넘쳐 만인의 사랑을 받을 수 있는 모습이면서도 차가운 도화(桃花)라 바람을 많이 일으키는 팔자이다.

 

묘목(卯木)에 뿌리를 내린 강한 목()이라고 해도 화()가 없으면 꽃도 열매도 열리지 않는다. 간지(干支)로 풍()이요, 바람이라 끼가 많은 바람둥이가 많은데 풍파가 심하다. 특히 부부궁이 위험하고 남자 문제로 인한 풍파를 면하기 어렵다.

 

심하면 재성(財星)이 다치는 것이고 배우자가 다치거나 튕겨 나가는 것이다. 재물로 인한 풍파도 많다.

 

특히 신강(身强)하면 더더욱 색정으로 인한 파란이 많고 가정을 지키기도 어렵다. 가정을 지킨다고 해도 따로 숨겨놓은 연인이 있기 쉽다.

 

여명(女命)은 소실로 있다가 본처를 내쫓고 안방을 차지하는 경우도 있다. 치밀한 성품에 분명한 것을 좋아하고 일을 처리하는 능력은 탁월하다.

 

명석한 두뇌로 개성을 살려 전문직으로 가면 대성할 수 있는 잠재력은 충분히 있다. 사주(四柱)가 튼튼하고 병화(丙火)가 있어야 한다.

 

을묘(乙卯) ()은 간지(干支)로 습목(濕木)인데 조후(調候)가 안되면 신경 계열이나 간담에 이상이 나타나며 차가운 자수(子水)나 축토(丑土)가 붙으면 더욱 위험하고 신경이나 간이 굳어 버린다. 중풍이나 간경화나 간암을 부를 수 있다.

 

을묘(乙卯)는 약초의 물상으로 한의학에도 연결되며 의료계이다.

 

예술, 연예 방면에도 인연이다. 을목(乙木)은 노래와 춤을 좋아한다. 또한 소질도 있다. 물론 식상(食傷)인 병화(丙火)가 있어야 제격이다.

 

 

() 운을 만나면 묘미(卯未) 목국(木局)으로 여자가 들어오고 돈이 들어오는데 비겁(比劫)과 재성(財星)이 합해서 비겁국(比劫局)이 된다. 들어오던 재성(財星)은 뒤로 숨어 사라지고 비겁(比劫)만 강해지므로 마누라의 주장이 강해지는 것이다.

 

신강(身强)해져서 비겁(比劫)이 더욱 위험한 존재가 되는데 미토(未土) 재성(財星)을 비겁(比劫)이 끌고 들어오는 작용을 하면서 비겁(比劫)으로 변해 재성(財星)이 사라지므로 돈이 날아가고 목돈이 푼돈 되어 흩어지는 운이다. 나가면 들어올 줄 모른다.

 

일간(日干)의 재산이요, 일간(日干)의 땅인 미토(未土)가 들어오는데 일지(日支)에 납작 엎드려 대기하고 있던 묘목(卯木)이 자기가 주인이라고 나서는 꼴이 될 수 있다.

 

마누라가 비겁(比劫)과 바람나 도망가는 배신의 형상으로 도망가면 다시 돌아오지 않는다. 마누라가 딴 주머니를 차기라도 하므로 의처증이라도 발동되는 운이다. 마누라가 시댁의 형제들에게 시달려 고생을 하기도 하는데 마누라의 건강도 좋지 않다.

 

미토(未土)는 일간(日干) ()의 묘지(墓地)로 무덤 속으로 들어가는 운이다. 갇혀 꼼짝달싹 할 수 없는 운이다. 활동력이 약해지고 몸이 아프거나 건강이 좋지 않다. 병원에 갇혀 입원할 수도 있다. 마누라 말을 들을 수밖에 없는 운이다. 미토(未土) 때문이다. 돈 때문이요, 마누라 때문이다.

 

나이가 들거나 건강에 문제가 심하면 사망할 수도 있다. 일간(日干)이 아니면 형제가 당할 수도 있다.

 

 

() 운을 만나면 해묘(亥卯) 목국(木局)이다. 인성(印星)이 변해 비겁(比劫)이 되어 인성(印星)이 사라지는 것이고 인성(印星)의 배신이 되기도 한다.

 

인성(印星)은 문서, 서류인데 보증을 서면 무조건 날아간다.

 

분실수도 많은데 학생이면 책 도둑을 잘 맞거나 책가방이라도 잘 잃어버리고 휴대폰이라도 잘 잃어버린다. 귀중품이 잘 사라진다.

 

인성(印星)이 비겁(比劫)으로 변해 선생이 친구처럼 보이기도 하고 공부를 한다고 도서관을 가도 친구와 같이 어울려서 간다.

 

인성(印星)은 부동산이요, 집이다. 집을 사도 남의 명의로 사는 것이고 집이 비겁(比劫)인 남의 명의로 넘어가는 운이 될 수도 있다.

 

 

() 운을 만나면 묘술(卯戌) ()이다. 비겁(比劫)과 재성(財星)의 합()이다. 돈이 들어오다가 엉뚱한 곳으로 사라진다. 받을 돈을 어떤 놈이 압류할 수도 있다.

 

배우자궁인 일지(日支)의 합()이라 배우자가 배신하기도 한다. 술토(戌土) 마누라가 비겁(比劫) 묘목(卯木)과 합()이 되어 바람나는 격이라 년놈이 짜고 재산을 빼 돌리거나 딴 주머니를 찰 수도 있다. 여자가 들어오는데 오다가다 잘 못 만난 여자 때문에 낭패를 보는 등 위험할 수도 있다.

 

 

() 운을 만나면 묘유(卯酉) ()으로 배우자궁의 충()이요 앉은 자리가 흔들리고 깨지는 운이다. 대운(大運)이 충()되면 십년 동안 흔들리는 것이고 년운(年運)이 충()되면 일년 동안 흔들리는 것이다. 일간(日干)의 뿌리가 날아가므로 일간(日干)의 다리가 부러지는 형상이다. 을목(乙木)도 부러지고 넘어지고 쫓기는 운이다. 지지(地支)에서 뿌리가 날아가면 천간(天干)은 자동적으로 날아가는 것이고 쓰러지게 된다. ()은 수족이라 수족이 다칠 수 있다. 급각살(急脚殺)과 연결되면 더욱 위험하다. 철사 줄에 꽁꽁 묶이는 운이라 불안하고 초조하다.

 

경금(庚金)을 만나도 합()으로 엮여 부부 궁이나 신상에 변동을 부른다.

 

특히 신유(申酉) 운을 만나면 간지(干支) ()이다. 아래위로 다 날아간다. 팔다리가 다 날아가고 부러지는 운이다. 만사 도로아미타불이요, 전부 다 깨진다. 인생이 엎어지고 뒤집어지는 운이다.

 

건강도 위험하고 사고수에 관재 등등 별의별 흉이 다 모인다. 건강은 주로 간담이나 신경 계통이다. 신경이 잘리고 끊어져 유통이 안된다. 신경이 끊기고 굳어 버린다. 신경마비와 풍으로 연결되기 쉽다.

 

뇌를 다치고 목을 다친다. 정신이 도망간다.

 

사전에 건강 보험을 챙기고 건강 검진을 받아 보는 것이 좋다.

 

사주(四柱)에 사화(巳火)가 있거나 진토(辰土)가 있으면 진유(辰酉) ()으로, 묘진(卯辰) ()으로 분산되어 충()의 작용이 완화된다고 보지만 진유(辰酉) ()이 되면 관살(官殺)인 금국(金局)이 되어 일간(日干)이 힘들어지고 사화(巳火)가 있어도 사유(巳酉) ()으로 금국(金局)이 되어 일간(日干)이 힘들어 진다.

 

()은 을목(乙木)이 가장 두려워하는 관살(官殺)이다.

 

진유(辰酉) ()이 되면 재성(財星) 진토(辰土)가 사라지게 되는 것이고 사유(巳酉) ()이 되면 식상(食傷)인 사화(巳火)가 사라지게 된다. ()으로 인한 희생이다.

 

재성(財星)이 사라지면 돈이 사라지는 것이고 마누라가 사라지는 것이다.

 

식상(食傷)이 사라지면 여명(女命)이면 자식이 사라지는 것이다.

'일주의 특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乙未日柱의 특성(特性)  (1) 2024.01.14
乙巳日柱의 특성(特性)  (1) 2024.01.09
乙丑日柱의 특성(特性)  (1) 2024.01.07
甲戌日柱의 특성(特性)  (1) 2024.01.06
甲申日柱의 특성(特性)  (5) 2024.01.0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