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신(食神)과 십성(十星)과의 관계

식신(食神)이 재성(財星)을 보면 유통이 잘 되므로 대귀격(大貴格)으로 본다. 그러나 정재(正財)와 편재(偏財)가 섞여 있으면 귀()가 감소한다.

 

식신(食神)격에 편재(偏財)도 없는데 편인(偏印)운이 오면 도식(倒食: 밥그릇을 깸)으로 최악의 경우 죽는 수도 있다. 보통 정도의 힘을 가진 식신(食神)격은 편재(偏財)없이 편인(偏印)을 보면 평생 빈천하다. 또한 식신(食神)격이 편관(偏官)을 보면 식신제살격(食神制殺格)이 되며 각종 재난이 미연에 방지된다. ​

 

식신격(食神格)은 길신(吉神)이므로 비겁(比劫)이 희신(喜神)이다. 그러나 비겁(比劫)이 태과(太過)하면 좋지 않다. 식신(食神)이 태과(太過)하면 일간(日干)을 도기(盜氣)하므로 신약(身弱)해진다. 그러면 자연히 빈천해지고 건강도 좋지 않다. 이 때는 인성(印星)이 태과(太過)한 식신(食神)을 극()해주고 관성(官星)이 지원하면 성격(成格) 된다. 흉신(凶神)인 편인(偏印)이 신약(身弱)한 일간(日干)을 도우며 태과(太過)한 식신(食神)을 극()하게 되므로 일석이조(一石二鳥).

 

길신(吉神)인 식신격(食神格)에 상관(傷官)이 있는데 인수(印綬)가 없으면 탁()하여 식신(食神)의 격()이 떨어진다.

 

식신격(食神格)이 간합(干合)이 되면 좋지 않다. 길신(吉神)은 간합(干合)되면 파격(破格)이 된다.

 

식신(食神)에 재성(財星)이 많으면 식신(食神)은 재성(財星)에 도기(盜氣)되어 힘을 발휘 못한다. 이때에 겁재(劫財)가 있으면 일간(日干)을 도우면서 식신(食神)을 강하게 하여 살()을 다스리게 하고 겁재(劫財) 자신은 왕한 재()를 극하므로 흉신(凶神)인 겁재(劫財)가 최대의 희신(喜神)이다. , 일간(日干)이 신약(身弱)할 경우다. ​식신(食神)과 재성(財星)이 조화를 이루면 유복한 명이다.

 

식신격(食神格)에 편인(偏印), 인수(印綬)가 함께 있어 식신(食神)을 극()함이 강하면 비열한 성격을 갖게 되고 남의 손가락질을 받게 된다. 더구나 양인(羊刃)까지 있으면 평생 고생이 심할 것이며 충(), ()이 겹치면 파란 곡절이 그칠 날이 없다. ​식신(食神)이 충() 되면 의식이 부족하여 고생이 많다.

 

식신생재(食神生財)나 식신제살(食神制殺)이 되면 신체건강 무병하며 복이 두텁고 출세길이 평탄하다. 특히 식신제살(食神制殺)격은 영웅 지상으로 출세가도가 빠르다.

 

식신(食神)이 왕하면 다재다능(多才多能)하지만 신약(身弱)하면 오히려 재능을 발휘하지 못한다. 식신(食神)이 왕한 재성(財星)을 생()해주고 이로 인해 관살(官殺)이 강하면 매사 궁지에서 헤어나지를 못하게 되나 신왕(身旺)하고 식신(食神) 또한 강한데 재성운(財星運)이 돌아오면 부와 명예를 동시에 얻는다.

 

식신(食神)이 편인(偏印)을 보면 편인(偏印) 도식(倒食)이 되니 가난하지 않으면 일찍 죽게 되고 식신(食神)이 왕()하고 인성(印星)과 관성(官星)이 없으면 평생 부유한 생활을 하게 된다.

 

일간(日干)이 약한데 식신(食神)이 많아 관성(官星)을 극()하면 나약한 사람일 경우가 많으며 또한 식신(食神)이 살()과 동주(同柱)하거나 중첩해 있으면 동분서주 분주한 명이 된다.

 

식신(食神)이 천간(天干)에 있고, ()하면 흉()을 당하는 일이 없으므로 자연히 부유해지며 식신(食神)이 편재(偏財)를 보면 복록(福祿)이 점점 늘어나고 횡재할 수도 있다.

 

식신(食神)이 왕()한데 살()이 약하면 제살태과(制殺太過)로 진로가 잘 풀리지 않게 되며 식신(食神)이 약한데 살()이 왕()하면 살왕제약(殺旺制弱)이라 하여 개운을 기대하기 어렵다.

 

​​식신(食神)이 쇠약한데 편인(偏印), 인수(印綬)가 많으면 늙어서 가난하지 않으면 일찍 죽게 되고 생일(生日) 지지(地支)의 식신(食神)이 왕()하고 충(), ()가 없으면 수명과 복이 좋고 신체가 비대한 편이다.

 

식신(食神)과 흉살(凶殺)이 동주하거나 도식(倒食)이 중첩이면 인격이 낮고 천한 직업을 가지게 되고 식신격(食神格)에 생년(生年)과 생시(生時)에 편인(偏印)이 있는 것을 탄극(呑剋)이라 하여 자녀가 고독하게 된다.

 

식신(食神)은 재성(財星)을 희신(喜神)으로 하지만 재성(財星)이 태과(太過)하면 돈과 이성문제로 고심하게 되고 식신(食神)이 극(), (), (), ()[편인(偏印)이 식신(食神)을 극()하는 경우] (), (), () 되거나 흉신(凶神)에 둘러싸여 있으면 평생 고생이 많다.

 

식신격(食神格)에 양인(羊刃) 2위 이상이면 평생 고생스럽고 또 형(), ()가 있으면 희롱을 당하면서 살아가는 명()이며 식신(食神)은 암장(暗藏)해 있고 상관(傷官)이 나타나 있으면 성격이 강하고 부귀는 되어도 대부귀는 못 된다. 또한 식신(食神)이나 상관(傷官)이 용신(用神)이면 대체로 총명하다.

 

식신격(食神格)에 재성(財星)이 있고 편관(偏官), 인수(印綬)가 희신(喜神)이면 인격자에 권위가 있고, 부귀하게 된다. 하지만 식신격(食神格)에 관살(官殺)이 겹쳐 있으면 인격이 떨어지는 명()이다.

 

일간(日干)은 강한데 식신(食神)이 약하면 빈한한 생활을 면치 못하고 일간은 약한데 식신(食神)이 왕()하면 입조심을 하여야 한다. 재앙이 입에서 나온다.

 

식신(食神)이 복성귀인(福星貴人)과 동궁(同宮)이 되거나, 장생(長生)이 있고 건록(建祿)에 봉하거나 일덕으로 편재(偏財)가 지지(地支) 중에 있으면 모두 좋다.

 

식신격(食神格)에 일간(日干)이 강하고 재()와 관()이 무력하면 고집스럽고 식신(食神)이 생왕(生旺)에 봉하고 길신(吉神), 길성(吉星)과 동궁(同宮)하면 귀명(貴命)이거나 재물이 풍부하다.

 

식신격(食神格)이 재성(財星)을 본다 할지라도 공망(空亡), (), ()을 받으면 노후가 불운하다.

 

일간(日干)은 약하고 재성(財星)이 많은데 식신(食神)이 있으면 복력(福力)이 박하다. 또한 일간(日干)은 강하고 살()은 약한데 식신(食神)이 있어 살()을 극하면 궁박(窮迫)한 명()이다.

 

일지(日支)에 식신(食神)이 있고 도식(倒食)이 월()이나 시()에 있으면 처는 신체에 이상이 있게 되고 식신격(食神格)이 일지(日支)에서 도식(倒食)을 보면 처로 인해 수모를 당하거나 처는 유약한데 여명(女命)이 이와 같으면 남편복이 박하다.

 

여자의 명()에서 식신(食神)이 있고 길()작용이 되면 음식 솜씨가 좋다.

 

월주(月柱)에 식신(食神)이 있고 시주(時柱)에 정관(正官)이 있으면 크게 발전할 팔자며 특히 관리로서 크게 출세하고 일지(日支)에 식신(食神)이 있으면 사주(四柱) 속에 편인(偏印)이 없는 한 처첩(妻妾)의 신체가 비대하며 마음이 관대하고 후덕하며 월지(月支)에 식신(食神)이 있는 신강(身强)이면 신체가 비대하고 명랑하며 음식을 좋아한다.

 

사주(四柱)에 식신(食神)이 있고 편인(偏印)이 없으면 한평생 큰 도난을 당하지 않는다고 한다.

 

식신(食神)이 편인(偏印)에 의해 극해(極害)되면 신체가 왜소하거나 추하며 한평생 곤고하지 아니하면 단명하고 성사되는 일이 없다. 여자는 산액이 있으며 독수공방이다.

 

식신(食神)이 편인(偏印)을 많이 만나면 늙어서 먹을 것이 부족하거나 음식물 중독 또는 아사할 경우가 있다.

 

여자 사주(四柱)의 시주(時柱)에 식신(食神)과 건록(建祿) 또는 제왕(帝旺)이 같이 있으면 그 자식이 반드시 크게 발달한다.

 

사주(四柱)에 식신(食神)이 있고 비겁(比劫)이 이를 생왕(生旺)하고 편인(偏印)이 없거나 식신(食神)이 형충파해(刑冲破害)되지 아니하면 부귀하고 덕망이 있으며 신체 건강하여 한평생 행복하게 지낼 수 있다. 고로 고서에서도 식신유기(食神有氣)면 승재관(勝財官)’이라 하여 식신(食神)이 아름다운 사주를 재관(財官)이 있는 사주보다 더 높이 평가하고 있다.

 

식신(食神)이 형충(刑冲)되면 어려서 어머니 젖이 부족하거나 어머니와 이별수가 있다.

 

식신(食神)이 사(), (), () 또는 목욕(沐浴) 등의 십이운성(十二運星)을 만나면 자식이 불효하지 아니하면 아들을 극()하는 일이 있다. 또 편인(偏印)에 의해 극파(剋破)되면 직업이 미천하고 박복하다.

 

사주의 년간(年干)에 식신(食神)이 있고 지지(地支)에 비견(比肩)이 있으면 왕왕 부잣집 양자로 갈 수가 있으며 경제적 재능이 있거나 타인의 도움을 받는다. 그러나 지지(地支)에 겁재(劫財)가 있으면 남의 흉사(凶事)로 인하여 이득 될 수가 있다.

 

식신(食神)과 편관(偏官)이 동주(同柱)에 있으면 노고가 많고 다시 사주에 편인(偏印)이 있으면 큰 재해를 당한다. 또한 사주에 식신(食神), 겁재(劫財)와 편인(偏印)이 같이 있으면 요사한다.

 

식신(食神) 편관(偏官)이 있고 양인(羊刃)을 만나면 비범한 인물이다. 그러나 양인(羊刃)이 여러 개 있으면 평생 노고가 많다.

 

신왕(身旺)이고 사주에 식신(食神)과 재()가 있으면 여러 사람의 사랑을 받아 매사를 성공시키며 또 염복(艶福)이 있다. 여자는 자식 중에 효자가 있다.

'자평진전 > 사주초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관(傷官)의 성격  (4) 2024.01.09
상관(傷官) 일반  (1) 2024.01.09
식신(食神)의 적성, 직업  (1) 2024.01.08
식신(食神)의 역할  (0) 2024.01.08
식신(食神)의 특성  (0) 2024.01.08

식신(食神)의 적성, 직업

식신(食神)연구하고 궁리하는 성분이며 독창적인 분야에서 능력을 발휘한다. 식신(食神)은 한 가지의 주제가 결정되면 깊게 파고 들어간다. 무슨 일이거나 잘 파고 들어가는 성분이며 그래서 과학이나 연구원에게 적당하다.

 

식신(食神)은 구습(舊習)을 익히는 것에는 별 흥미가 없으며, 새로운 것에 대한 관심은 오히려 증폭되어 창의적이고 미래지향적인 방향으로 연구하고 궁리하여 한 분야의 전문가로 자신의 능력을 발휘하게 된다.

 

정인(正印), 편인(偏印)이 추가된다면 식신(食神)의 창조력과 정인(正印), 편인(偏印)의 영감이 작용하여 글을 잘 쓰게 되므로 작곡가, 극작가로 능력을 발휘하게 되며 논설에 탁월하여 신문방송에서 해설을 하는 것도 좋다.

 

재성(財星)이 있으면 식신(食神)은 뭔가 새로운 것을 창작하고 제조하는 능력이 있으므로 스스로 연구를 한 것에 대해서 제품화를 시키는 방향으로 재물을 취하고자 하는 구상을 하게 되어 제조업 분야와도 잘 어울린다.

 

식신(食神)언어능력이 유창 하여 말하는 직업이 잘 어울리고 이 분야로 진출하면 성공 가능성이 높다. 다만 상관과는 달리 폭넓은 대인관계보다는 소규모의 인간관계를 선호하므로 그 중에서도 안정적인 분야, 차분하고 현실적인 분야인 교수, 교사처럼 학자나 선비 성향의 직업이 어울린다.

 

식신(食神)이 편관(偏官)을 극하면 식신제살(食神制殺)이라 하며 법관이 적격이다.

 

식신(食神)이 재성(財星)을 보고 있으면 식신생재(食神生財)라고 하며 벤처사업가로 두각을 나타낼 수 있다.

 

식신(食神)은 학문과 예술 및 의식주에 관계되는 직업이 적합하고, 교육, 경제, 경영, 식품영양, 농림 어업에 관한 학문 분야도 좋다. 의료업, 산업안전, 재해예방 기구 제조업 등 직업도 무방하다. 약사, 사업가, 발명가, 연료, 태양에너지, 생산업, 제조업, 특허업, 식품가공업, 요리학원, 식당, 조산원, 주유소, 목욕업 등에 적합하다.

 

식신(食神)과 정재(正財)가 있으면 금융 관계나 경리 업무에 종사하게 된다.


식신(食神)이 편재(偏財)를 보면 좀더 규모가 크고(무역) 활동적인 분야에 종사한다.


학문은 의학, 산부인과, 치과, 약품, 에너지, 주류, 식품 가공학, 국제특허, 산업 패기물, 동물학, 육아보육, 핵연료, 무기재료학, 자원학, 임산물학, 경영학, 경제학, 약학, 원료 등에 적합하다.

'자평진전 > 사주초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관(傷官) 일반  (1) 2024.01.09
식신(食神)과 십성(十星)과의 관계  (1) 2024.01.08
식신(食神)의 역할  (0) 2024.01.08
식신(食神)의 특성  (0) 2024.01.08
식신(食神) 일반  (1) 2024.01.08

식신(食神)의 역할

식신(食神)의 기본적인 작용은 크게 두 가지이다. 하나는 재물을 생하는 생재(生財)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식신(食神)이 칠살(七殺)을 극하므로 칠살(七殺)로부터 일간을 보호(制殺)하는 것이다.

 

생재(生財)하는 것이나 제살(制殺)하는 것이나 모두 적극적으로 일간(日干)을 표현하는 것이 된다. 결국 식신(食神)의 주된 작용은 일간(日干)의 뜻이나 의지를 밖으로 들어내는 형태의 모습이 된다.

 

식신(食神)은 일간(日干)의 기운을 계승하여 밖으로 들어내는 작용이 어떻게 일어나는지를 중심으로 관찰해야 한다.

 

일간(日干)이 강하고 식신(食神)이 유기(有氣)하다면 주변의 여건에 상관하지 않고 자신의 기호나 취미에 맞춰 실천하며 여유롭고 서두르지 않는 성향을 갖게 된다.

 

그러나 식상(食傷)이 혼잡 되었다면 통일된 성향을 잃고 다변적인 성향을 들어내게 되고, 식신(食神)이 인성(人性)에 의해 파극(破剋)되었다면 일간(日干)이 자신을 외부에 들어내는 표현력에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식신(食神)의 역할을 다시 정리해 보자.


()를 생()하는 역할(생산력 증가, 외적 활동)
식신(食神)이 정재(正財)를 생하면 사업보다는 연구직이나 관리직에 어울린다. 정재(正財)의 현실적이고 치밀한 성격에 식신(食神)의 탐구력, 창조성이 결합되어 자기의 재능을 발휘하기 쉽다.

 

사업을 한다면 경험으로 습득된 노하우를 바탕으로 규모는 작지만 안정적이고 실속을 챙기는 업이 어울린다.

 

식신(食神)이 편재(偏財)를 생하면 풍류적이고 낙천적인 면과 함께 사업적 성향도 생산, 제조보다 개인사업에 가깝다. 재를 적극적으로 취하기 보다 즐기려 하는 성향으로 나타난다.

 

 

비겁(比劫)을 설()하는 역할(활동력, 욕구 발동, 실천의지)
일간(日干)이 약하고 식신(食神)이 강하면 일간(日干)이 설()하는 기운을 감당하지 못하니 식신(食神)이 갖는 긍정적인 면을 발현하기 어렵다.

 

특히 상관(傷官)과 혼잡(混雜)되어 있다면 식신(食神)이 상관적(相關的) 성향으로 변질되기 쉽다.

 

반면 일간(日干)이 강하고 식신(食神)이 약하면 일간(日干)의 능력을 발휘하는 식신(食神)의 역량이 부족한 것이 된다.


관살(官殺)을 극()하는 역할(통솔력, 위기극복)
칠살(七殺)을 제살(制殺)하는 역할의 식신(食神)이라면 우선 일간(日干)이 강해야 한다.

 

일간(日干)이 근()이 없다면 제살(制殺)하려는 식신(食神)은 오히려 극설교가(剋洩交加)로 일간(日干)을 더욱 힘들게 할 것이다.

 

일간(日干)이 강하여 식신제살(食神制殺)이 되면 뛰어난 통솔력과 위기대처 능력을 갖춘 명()이 된다.

 

하지만 제살(制殺)이 지나치게 되면 오히려 피해로 드러나게 되므로 식신(食神)과 관살(官殺)의 균형이 중요하다.

 


()의 작용
식신(食神)의 작용이 제살(制殺)을 하는 용도인지 재()를 생()하는 용도인지 먼저 구분하여야 한다.

 

제살(制殺)하면 어려운 환경을 벗어나고(면제, 탈출, 위기극복) 생재(生財)하는 용도로 사용된다면 활동력이 강화되는 것으로 새로운 일을 하거나 재적 욕심이 커지게 된다.

 

제살(制殺)을 하거나 생재(生財)를 하거나 우선 되어야 하는 것은 일간(日干)의 강약(强弱)을 먼저 살펴야 하며, 그래야 식신(食神)운의 올바른 작용을 살필 수 있게 된다.

'자평진전 > 사주초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신(食神)과 십성(十星)과의 관계  (1) 2024.01.08
식신(食神)의 적성, 직업  (1) 2024.01.08
식신(食神)의 특성  (0) 2024.01.08
식신(食神) 일반  (1) 2024.01.08
십성(十星) 요약  (1) 2024.01.08

식신(食神)의 특성

식신(食神)은 일간(日干)의 능력을 밖으로 표출하는 성분이다. 재능을 발휘하거나 성실하게 자기 일을 하는 사람이다.

 

식신(食神)이 왕한 사람은 언어표현이 좋고 노래도 잘하고 온화하고 덕이 두터우며, 도량이 넓고 다툼을 싫어한다.

 

식신(食神)이 왕()하면 먹을 복이 있고, 마음이 넓으며 몸도 풍만하다. 태평한 생활을 추구하며, 민주적인 것을 좋아한다.

 

식신(食神)은 또한 여행, 운동을 대표한다. 식신(食神)은 참여를 중시하며, 결과나 득실을 중시하지 않는다. 만약 재성(財星)이 있으면 결과를 중시하게 된다.

 

일간(日干)이 생()하면서 음양(陰陽)이 다른 것이 상관(傷官)인데 상관(傷官)을 제어하면 식신(食神)의 심성으로 전환되고, 식신(食神)이 지나치면 상관(傷官)의 심성으로 전환된다. 식신(食神)은 신용과 성실로 재물을 획득하며, 상관(傷官)은 영업인, 판매업에 적당하다.

 

식신(食神)은 연구하고 궁리하는 성분이며 창의적인 부분에 탁월한 능력이 있다. 식신(食神)의 특성은 창의, 연구, 미래, 희망이다. 종교가, 교사, 음악가, 가수, 연예인, 마술사, 스포츠맨, 요리사, 변호사, 후배, 나이 어린 사람 등.

 

식신(食神)이 있으면 총명하며 궁리와 연구심이 많으며 창조적이다. 상상력과 응용력이 뛰어나며 호기심이 많아서 마음에 드는 일에 대해서 열성적이다.

 

표현력이 좋고 독창적이며 문학이나 예술적 소질이 있다. 허영과 이상보다는 현실적인 면을 추구한다. 또한 예의범절이 바르며 대인관계가 원만하다. 안정적이고 보수적이며 근엄하고 중후하다.

 

식신(食神)이 지나치거나 기신(忌神)이면 대화를 좋아하지만 알맹이가 없거나 경박한 내용이고, 허풍에 그칠 뿐이다. 또한 자기가 가장 뛰어나다는 자아도취에 빠져 남을 무시하는 경향이 있으며, 일방적으로 자신의 감정이나 생각을 상대에게 주입하려고 한다.

 

어떤 상황이나 생각이 자신에게 긍정적이거나 희망적이라고 생각하면 그것을 과도하게 밀고 나간다.

 

인격이 한쪽으로 치우치기 십상이고(주관을 흐트러트리지 않음), 내심 남의 말에 귀를 기울이지 않으며, 자기의 세계에서 빠져나오기를 거부하는 성향을 갖는데 비해, 뒤끝이 없고 성격이 좋다.

 

식신(食神)은 자신의 능력을 빼어나게 만드는 성분이지만 식신(食神)이 너무 많으면 유시무종(有始無終)의 형태가 되어서 일은 많이 벌리지만 인내심이 부족하고 마무리를 못한다.

 

식신(食神) 과다(過多)는 여러가지에 관심을 갖고 여러가지를 실행하지만 결국 팔방미인이 되면 실제로 거두는 것은 적게 되기 때문이다.

 

식신(食神)이 없는 경우에는 새롭게 추구하는 창의력도 부족하고 성실하거나 집중력 있게 일을 수행하는 노력도 부족하다. 한 분야의 전문가로 성장하기 어렵다.

 

식신(食神)은 도량이 넓고 선량하며 재주가 없어 보지만 의식주에 곤란을 겪지 않는다. 희신(喜神)운에 자신의 적성을 살려 편안하게 부자가 된다.

 

식신(食神)은 예의가 바르며 염치가 있다. 편인(偏印)의 기신이 없으면 대체로 신체가 풍후하다.

 

식신생재격(食神生財格)이면 온건하고 평화적이다. 대체로 도량이 넓은데, 그러나 식신(食神)이 많으면서 편인(偏印), 재성(財星)이 없으면 자기 중심적이고 인색하며 정신이 탁하고 눈에 거슬리는 행동을 한다.

 

식신(食神) 태과(太過)로 관성(官星)을 극()함이 과다하면 무능한 사람이다. 식신(食神)이 왕()하면 총명 준수하지만, 식신(食神)이 쇠약하면 심신이 부정하고 침착하지 못하다.

 

식신(食神)은 풍요의 별이며 재물을 생할 수 있는 길신(吉神)이다. 도량이 넓고 정직하며 수명을 늘려주는 수성이다.

 

성품은 낙천적이고 여유가 있으며 호인이다. 호기심과 유머와 위트가 있다. 현실에 순응할 줄 알고 불쌍한 사람을 도울 줄 안다. 평화, 식품, 의약품을 상징한다. 영감이 뛰어나고 미식가에 식도락가가 많다.

'자평진전 > 사주초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신(食神)의 적성, 직업  (1) 2024.01.08
식신(食神)의 역할  (0) 2024.01.08
식신(食神) 일반  (1) 2024.01.08
십성(十星) 요약  (1) 2024.01.08
육친(六親) 요약  (0) 2024.01.0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