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신(食神)의 특성
식신(食神)은 일간(日干)의 능력을 밖으로 표출하는 성분이다. 재능을 발휘하거나 성실하게 자기 일을 하는 사람이다.
식신(食神)이 왕한 사람은 언어표현이 좋고 노래도 잘하고 온화하고 덕이 두터우며, 도량이 넓고 다툼을 싫어한다.
식신(食神)이 왕(旺)하면 먹을 복이 있고, 마음이 넓으며 몸도 풍만하다. 태평한 생활을 추구하며, 민주적인 것을 좋아한다.
식신(食神)은 또한 여행, 운동을 대표한다. 식신(食神)은 참여를 중시하며, 결과나 득실을 중시하지 않는다. 만약 재성(財星)이 있으면 결과를 중시하게 된다.
일간(日干)이 생(生)하면서 음양(陰陽)이 다른 것이 상관(傷官)인데 상관(傷官)을 제어하면 식신(食神)의 심성으로 전환되고, 식신(食神)이 지나치면 상관(傷官)의 심성으로 전환된다. 식신(食神)은 신용과 성실로 재물을 획득하며, 상관(傷官)은 영업인, 판매업에 적당하다.
식신(食神)은 연구하고 궁리하는 성분이며 창의적인 부분에 탁월한 능력이 있다. 식신(食神)의 특성은 창의, 연구, 미래, 희망이다. 종교가, 교사, 음악가, 가수, 연예인, 마술사, 스포츠맨, 요리사, 변호사, 후배, 나이 어린 사람 등.
식신(食神)이 있으면 총명하며 궁리와 연구심이 많으며 창조적이다. 상상력과 응용력이 뛰어나며 호기심이 많아서 마음에 드는 일에 대해서 열성적이다.
표현력이 좋고 독창적이며 문학이나 예술적 소질이 있다. 허영과 이상보다는 현실적인 면을 추구한다. 또한 예의범절이 바르며 대인관계가 원만하다. 안정적이고 보수적이며 근엄하고 중후하다.
식신(食神)이 지나치거나 기신(忌神)이면 대화를 좋아하지만 알맹이가 없거나 경박한 내용이고, 허풍에 그칠 뿐이다. 또한 자기가 가장 뛰어나다는 자아도취에 빠져 남을 무시하는 경향이 있으며, 일방적으로 자신의 감정이나 생각을 상대에게 주입하려고 한다.
어떤 상황이나 생각이 자신에게 긍정적이거나 희망적이라고 생각하면 그것을 과도하게 밀고 나간다.
인격이 한쪽으로 치우치기 십상이고(주관을 흐트러트리지 않음), 내심 남의 말에 귀를 기울이지 않으며, 자기의 세계에서 빠져나오기를 거부하는 성향을 갖는데 비해, 뒤끝이 없고 성격이 좋다.
식신(食神)은 자신의 능력을 빼어나게 만드는 성분이지만 식신(食神)이 너무 많으면 유시무종(有始無終)의 형태가 되어서 일은 많이 벌리지만 인내심이 부족하고 마무리를 못한다.
식신(食神) 과다(過多)는 여러가지에 관심을 갖고 여러가지를 실행하지만 결국 팔방미인이 되면 실제로 거두는 것은 적게 되기 때문이다.
식신(食神)이 없는 경우에는 새롭게 추구하는 창의력도 부족하고 성실하거나 집중력 있게 일을 수행하는 노력도 부족하다. 한 분야의 전문가로 성장하기 어렵다.
식신(食神)은 도량이 넓고 선량하며 재주가 없어 보지만 의식주에 곤란을 겪지 않는다. 희신(喜神)운에 자신의 적성을 살려 편안하게 부자가 된다.
식신(食神)은 예의가 바르며 염치가 있다. 편인(偏印)의 기신이 없으면 대체로 신체가 풍후하다.
식신생재격(食神生財格)이면 온건하고 평화적이다. 대체로 도량이 넓은데, 그러나 식신(食神)이 많으면서 편인(偏印), 재성(財星)이 없으면 자기 중심적이고 인색하며 정신이 탁하고 눈에 거슬리는 행동을 한다.
식신(食神) 태과(太過)로 관성(官星)을 극(剋)함이 과다하면 무능한 사람이다. 식신(食神)이 왕(旺)하면 총명 준수하지만, 식신(食神)이 쇠약하면 심신이 부정하고 침착하지 못하다.
식신(食神)은 풍요의 별이며 재물을 생할 수 있는 길신(吉神)이다. 도량이 넓고 정직하며 수명을 늘려주는 수성이다.
성품은 낙천적이고 여유가 있으며 호인이다. 호기심과 유머와 위트가 있다. 현실에 순응할 줄 알고 불쌍한 사람을 도울 줄 안다. 평화, 식품, 의약품을 상징한다. 영감이 뛰어나고 미식가에 식도락가가 많다.
'자평진전 > 사주초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신(食神)의 적성, 직업 (1) | 2024.01.08 |
---|---|
식신(食神)의 역할 (0) | 2024.01.08 |
식신(食神) 일반 (1) | 2024.01.08 |
십성(十星) 요약 (1) | 2024.01.08 |
육친(六親) 요약 (0) | 2024.0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