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재(正財) 일반

일간(日干)을 극()하여 지배하는 오행(五行) 중 음양(陰陽)이 다른 것을 정재(正財)라 한다.

 

의식주 생활을 위해 성실하게 노력한 대가로 농부가 가을에 수확한 곡식이나 직장인이 월급날 받는 보수, 장사나 기업활동을 통하여 얻어진 정당한 이윤 등이 이에 해당하며, 정식으로 혼례를 치른 처가 정재(正財)에 해당한다.

 

그러므로 정재(正財)에는 성실한 노력과 근검절약 정신이 베어 있고, 신용과 책임을 바탕으로 한 정당한 취득을 나타낸다.

 

땀 흘려 거둔 재물을 정재(正財)라고 한다면 겁재(劫財)는 가뭄, 해충, 질병이다. 식상(食傷)이 없다면 그 토지가 척박하다.

 

()가 지나치게 많다면 경작지가 너무 넓어 황폐화되기 십상이다. 정재(正財)는 정이 깊은 인물이며 성실 견실, 절약하는 성분이다.

 

겁재(劫財)의 위협을 받는 명식 원국에 겁재운(劫財運)이 도래하면 아내의 신변에 재앙이 찾아올 수 있다. 나와 결합하는 정재(正財)는 아름다우나 타간(他干)과 합()하는 정재(正財)는 문제다.

 

재관쌍미(財官雙美)란 정재(正財), 정관(正官), 길성(吉星)의 조합을 의미하니 간합(干合)을 기피하고, ()로써 관()을 생하는 것이다.

 

정재(正財)가 편관(偏官)을 보면 관위(官位)를 얻기 위해 가진 재산 모두를 들이민다는 의미이므로 스스로 위기를 자초하니 식신(食神)으로 살()을 다스리거나 범퍼존 인이 있어야 재()가 안정된다. 그러나 겁재(劫財)가 재()를 위협한다면 구제의 신은 편관(偏官)이다.

 

정재(正財)는 정당하고 합법적인 자기 아내요 재산이다. 정재(正財)는 천부적으로 성실하고 검소하며 알뜰하다.

 

법에 따라서 합리적인 생산과 저축을 능사로 함으로써 신용이 두텁고 의식주는 여유가 있다.

 

같은 기업을 해도 편재(偏財)는 금융과 투기업 등 돈 장사에 능한데 반해 정재(正財)는 생산업과 농축산 등 안전하고 장기적인 기업을 선택한다.

 

정재(正財)가 둘이 있거나 편재(偏財)와 같이 있으면 정실과 소실이 있거나 두 여인이 같이 사는 격이다. 정재(正財)가 편재(偏財)로 변질하는 동시에 편재(偏財)가 많은 것과 다를 바 없다.

 

정재(正財)가 편재(偏財)로 바뀌면 수완과 재간이 비범하고 투기와 금융에 능하지만 치부하기는 어렵다.

 

부는 재간과 수완에서 형성되는 노다지가 아니고 오직 성실과 인심과 천명에서만 이뤄질 수 있다.

 

정재(正財)든 편재(偏財)든 재성(財星)은 물질적인 욕망의 별로서 돈을 버는 수단과 인연은 있으나 자칫하면 욕심으로 함정에 빠지기 쉽다.

 

재성(財星)이 기신(忌神)이 되거나 여럿이 나타나면 부양할 등짐이 태산 같은 것이니 아무리 욕심을 부리고 돈을 번다 해도 감당할 수 없는 동시에 재물을 낚으려 다가 도리어 낚이고 묶임으로써 재난과 질병을 자초하게 된다.

 

조물주가 사람을 낚는 최고의 미끼는 바로 돈과 벼슬이다. 또한 부의 심볼이자 재난의 근원이기도 하다. 치부하기 보다는 치명적인 재난에 걸리기 쉬운 함정이요 낚시가 바로 재성(財星)인 것이다.

 

년주(年柱) 정재(正財) 유물유산귀금속대기업가투기사업가 등의 일이 발생하거나 상징한다.

 

월주(月柱) 정재(正財) 위험성의타심횡재임낭비성연상의 여인 등의 일이 발생하거나 상징한다.

 

일주(日柱) 정재(正財) 강제성의협심물욕의 욕심경제경영 등의 일이 발생하거나 상징한다.

 

시주(時柱) 정재(正財)는 시상일귀격(時上一貴格), 재물창고 연하의 여인, 애인이 많음 등의 일이 발생하거나 상징한다.

 

대운(大運) 정재(正財)는 횡재, 유산을 받음, 사치, 허영, 첩을 두는 일 등의 일이 발생하거나 상징한다.

 

정재의 긍정적인 면은

정확하고 성실하며 실수를 용납하지 않는다.

거짓말을 싫어하고 고지식한 성품을 지녔다.

성실하기 때문에 의식주에 대한 걱정이 없다.

직장생활에 충실하고 시간 약속을 어기는 법이 없다.

부당한 재물이나 노력한 대가 이상의 재물은 원하지 않는다.

검소한 저축생활로 주변 사람들로부터 존경을 받는다.

통솔력이 좋고 경영 능력이 좋아 이익 창출을 잘한다.

기획력이 있고 업무 수행 능력이 안정적이다.

천성이 꼼꼼하고 치밀하여 실언과 실수를 하지 않는다.

숫자에 정확성이 있어 경리기획회계 업무 등에 능하다.

정재(正財) 있으면 단정하고 신용이 있고검소하고 신중하다.

 

정재의 부정적인 면은

남명(男命) 신약(身弱)사주에 재성(財星) 태왕(太旺)하면 단명하게 된다.

정재(正財) 뿌리 없이 천간(天干)에만 있으면 부자가 못된다.

비겁(比劫) 많고 재성(財星) 약하면 가난하고 천할  있다.

재성(財星) 진술축미(辰戌丑未) () 있으면   줄을 모른다.

정재(正財) 태왕(太旺)하면 주관과 결단성이 없다.

재다신약(財多身弱사주는 처가 실권을 쥐고 있어 공처가가 된다.

이해득실은 빠르나 최종 결정을 내리는 적기를 놓친다.

고지식하여 원리원칙을 고수하고 융통성이 없다.

너무 정확한 계산으로 인심이 박하고 인색하다.

양보심이 적고 자신의 실리에 집착하여  것을 놓친다

'자평진전 > 사주초급'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편관(偏官) 일반  (0) 2024.01.16
정재(正財)와 십성(十星)과의 관계  (2) 2024.01.14
정재(正財)의 적성, 직업  (0) 2024.01.14
정재(正財)의 역할  (0) 2024.01.14
정재(正財)의 성격  (1) 2024.01.14

정재(正財)의 적성, 직업

정재(正財) 치밀하고 꼼꼼한 성분으로서 정밀(精密) 부분과 알뜰부분에서 능력을 발휘한다감성보다는 이성이 발달하여 합리적인 면이 강하며 계획적으로 생각하고 보수적이다

 

모험을 하기 보다는 한 단계씩 밟아 나가려는 성격으로 성실하고 신용과 치밀한 관리 능력이 있어 회사원, 공무원, 금융계, 회계사, 경리, 통계학, IT와 관련된 직업, 식품영양 분야에 잘 어울 린다.

 

의사나 약사처럼 정직, 성실, 신용을 본위로 하는 직업도 좋다.

 

기타 창고업, 부동산, 천연자원, 영화산업, 보석상, 증권사, 빠찡코, 채집가, 시장에서 물건 판매, 의류업, 골동품 등도 가능하다.

 

정재(正財)는 돈과 직결되는 직업이 좋다. ()와 용()의 균형이 맞는 정재격(正財格)은 자유 사업을 해도 성공한다.

 

비겁(比劫)이 왕()하여 일간(日干)이 강한데 정재격(正財格)이 약할 경우는 독립 사업은 불가(不可).

 

상관생재격(傷官生財格) 기술을 바탕으로  업무는  양호하다

 

재관쌍미격(財官雙美格) 금융계통에서 두각을 나타낸다.

 

정재격(正財格)  구성되면 기업 경영인으로 출세한다투기가 아닌 투자 쪽이 라야 유리하다.

 

학문으로는 경제학, 경영학, 재정학, 무역학, 사회학, 사회사업학, 토목학, 조선학, 기계, 자원 공학, 금속, 건축 등에 적합하다.

 

정재(正財)는 편재()의 능력을 통제하고 관리하는 분야에서 발휘가 된다. 그러므로 관리자나 감독이 어울린다.

'자평진전 > 사주초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재(正財)와 십성(十星)과의 관계  (2) 2024.01.14
정재(正財) 일반  (1) 2024.01.14
정재(正財)의 역할  (0) 2024.01.14
정재(正財)의 성격  (1) 2024.01.14
편재(偏財)와 십성(十星)과의 관계  (2) 2024.01.10

정재(正財)의 역할

(현실, 현금, 집착, 건강, 노력의 대가, 치밀, 재에 대한 미시적 시각, 직접적인 재, 유동재, 신용, 저축, 보관, 인색)

 

정재(正財)의 가장 큰 작용은 대상에 대한 항상성(恒常性)과 소유욕이라 할 수 있다.

 

항상성(恒常性)이란 현재의 생활이나 형태를 유지하기 위해 계획하고 계산하여 절약하고 근면하려는 기본적 성향을 만들게 된다그러므로 현실에 대한 탁월한 감각을 유지하게 하며 소유한 것을 지키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하게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정재(正財)의 소유욕이란 편재(偏財)가 갖는 막연한 기대에 의한 대상이 아닌 지극히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대상을 말하는 것이 된다소유욕이 적당하면 애착이라 할 수 있으나 지나치면 집착이 되므로 정재의 상황을 잘 살펴 보아야 한다.

 

한마디로 정재(正財)라는 것은 현실생활의 상황이나 현재의 조건 또는 형태를 표현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결국 재성에 대한 관찰은 그 명의 현실적 상황이나 조건을 파악하는 기준이 되는 것이다.

 

정재(正財)를 관찰하는 가장 중요한 시각은 식상(食傷)의 지원을 받는 것인지 관살(官殺)을 향하는 것인지 먼저 구별되어야 한다이것이 구별 되지 않고서는 정재(正財)의 작용을 말하기 어렵다

 

정재(正財)가 식상(食傷)의 지원을 받으면 소유욕으로 발전하게 되며 정재가 관살(官殺)을 향하게 되면 항상성(恒常性)을 갖게 된다.

 

일간 입장에서 정재(正財)를 다루기 위해선 가장 기본적인 힘이 되는 근이 있어야 한다()이란 지지(地支)에 있는 비견(比肩)을 원칙으로 하며 겁재(劫財)의 쓰임은 순수하지 못하여 득실이 따르게 되므로 세밀한 관찰이 필요하다.

 

비겁(比劫)이 많으면 관성(官星)이 우선되어야 하나 식상(食傷)으로 흐르게 되면 한두 번의 실패는 감수해야 하는 것이 되고 신약(身弱)하더라도 근()이 있다면 식상(食傷)이나 관살(官殺)을 다룰 수 있으나 근()이 없다면 재()를 다루지 못하여 오히려 재()로부터 피해를 입게 된다.

 

 

관살(官殺)을 생()하는 역할  명예 중심현실 유지안정 추구일 중독과로 

정재(正財)가 정관(正官)을 생하게 되면 원리원칙을 고수하는 성향으로 한번 만들어진 틀이나 형태를 쉽게 바꾸지 않는다관료적이며 보수적이라 할 수 있으나 관인(官印)으로 구성 된 명() 보다 현실참여 의식 이나 관을 다루는 면에서 적극적이라 할 수 있다

 

대체적으로 공무원과 같은 직업 군을 갖게 되는데 정재(正財)가 월지(月支)를 장악했다 던지 선택의 기준이 된다면 재정재무 경제 계통에 관련을 갖게 된다.

 

정재(正財)가 편관(偏官)을 생하는 구조라면 자칫 재생살(財生殺)이 되는지 먼저 관찰해야 한다()와 살()을 다루기 위해선 우선 신강(身强)해야 하는데 일간(日干)의 근()이 부실하다면 재생살(財生殺)의 피해를 벗어나기 어렵 다

 

재생살(財生殺)의 작용은 재적 증식이 이루어져 생활이 안정되거나 환경조성이나 현실적 만족이 이루어 질만 하면 살()의 작용이 일어나 문제를 일으키게 되는 것을 말한다대부분 예고 없는 갑작스런 문제에 봉착하게 되는데 건강문제안전사고 등으로 직업 직장에 문제를 일으키는 것을 말한다.

 

일간(日干)이 강하고 힘이 있다면 관살(官殺)의 작용을 충분히 감당할 수 있으나 관살(官殺)이 혼잡(混雜) 되는 것은 정재(正財)의 항상성(恒常性) 작용에 문제를 일으키게 되는 것으로 안정된 모습이라 할 수 없다.

 

 

식상(食傷)을 설()하는 역할  활동 수단생재 수단실천방법욕구 발동 

정재(正財)가 공간적 의미로 식상(食傷)의 시간적 작용을 활용하는 것이 된다이것은 재적 기반을 식상(食傷)이라는 수단을 통해 목적을 달성하는 것으로 식상(食傷)이 재()를 생하는 구조보다는 능동적이지 못하다.

 

정재(正財)가 식신(食神)을 설()하는 구조라면 정재(正財)의 치밀하고 현실적인 감각으로 식신(食神)의 수단을 사용하는 것이 되니 재()에 대한 활용이나 응용하는 것으로 나타나게 된다.

 

정재(正財)가 상관(傷官)과 관계하게 되면 재()에 대한 집착이나 끝임 없는 욕심으로 표현되기 쉽다인성(印星)의 도움이 없으면 재주는 많으나 조절 되지 않으니 재()를 운용하는 면에서 일관성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나게 된다.

 

 

인성(印星)을 극()하는 역할  욕심과 양심(현실과 이상)의 문제,

재성(財星)의 현실적 감각으로 정신적 사고의 인성을 조절하는 것이 된다

 

정재(正財)의 극()이 지나쳐 인성(印星)이 다치게 되면 현실에 치우치게 되며 관살(官殺)의 작용을 끌어들이지 못하게 된다이것은 지나치게 현실에 집착하다 보니 주위로부터 지탄을 받는 것으로 재극인(財剋印)이 지나쳐 인성(印星)의 가치관이 무너지게 되면 재생관(財生官)의 작용이 시간이 지날수록 변질되어 피해로 들어나게 되는 것을 말한다

 

특히 편관(偏官)을 생하는데 인성(印星)의 작용이 부실하다면 재생살(財生殺)의 작용은 세심한 관찰을 필요로 한다.

 

인성(印星)이 왕()하여 정재(正財)가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면 식상(食傷)의 작용을 살리는 것인지 관살(官殺)을 도와 주는 것인지를 먼저 구분해야 한다

 

관살(官殺)의 설기(洩氣)가 지나친 인성(印星)을 재성(財星)이 구조하는 명()이라면 실전적 학문이나 지식 자격으로 자리를 만들어가게 되는 것이 되며 인성(印星)으로부터 식상(食傷)을 구원하는 명이라면 실천적이고 행동적인 능력을 펼칠 수 있는 공간이 확보 되는 것과 같다.

 

 

정재(正財)의 운()

정재(正財)의 작용이 관살(官殺)을 생하는 역할이라면 당연히 관살(官殺)의 희기(喜忌)를 먼저 살펴야 한다관살(官殺)의 작용이 정당하다면 후원 세력을 얻는 것과 같아 자리가 안정되고 편안해지는 운이라 할 수 있으나 관살(官殺)의 작용이 불편한 명이라면 정재(正財)의 운은 재()로 인한 피해를 생각해야 하는데 작게는 건강상의 문제로부터 크게는 관재(官災)까지 발전하게 된다.

 

식상(食傷)을 설()하는 역할이라면 식상(食傷)에 의해 벌여진 일들이나 노력 등에 대한 결과를 얻는 운으로 대체적으로 긍정적이라 할 수 있으나 인성(印星)의 작용이 식상(食傷)을 조절하는 명이라면 자칫 탐재괴인(貪財壞印)으로 흐르게 되니 쉽게 판단할 부분이 아니다.

 

인성(印星)이 희신(喜神)으로 작용하는 명()이라면 정재(正財) 운은 탐재괴인(貪財壞印)으로 작용하는데 학업중단고부간의 갈등가치관의 혼란부부갈등 등의 작용이 일어나게 된다관성(官星)의 도움이 있다면 어려움을 벗어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자평진전 > 사주초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재(正財) 일반  (1) 2024.01.14
정재(正財)의 적성, 직업  (0) 2024.01.14
정재(正財)의 성격  (1) 2024.01.14
편재(偏財)와 십성(十星)과의 관계  (2) 2024.01.10
편재(偏財) 적성, 직업  (1) 2024.01.10

정재(正財)의 성격

정재(正財)는 내게 소용되는 것이며, 식물(食物), 금전, 재산 등을 대표한다. 정재(正財)는 정처(正妻), 편재(偏財)는 첩()으로 여긴다.

 

정재(正財)는 정상으로 경영하여 얻는 재물로 땀 흘려 얻는 재물이다. 정재인(正財人)은 금전을 중시하므로 함부로 낭비하지 않고 때로는 인색하며, 작은 이익 또는 사소한 일 등을 지나칠 정도로 잘 따진다.

 

신왕(身旺)하고 정재(正財)가 약하다면 항상 돈이 부족하다는 생각에 남 주기를 아까워한다. 정재(正財)가 있고 편재(偏財)가 없는 사람은 애정이 전일(專一)하고 전통적인 가정 관념과 사상이 보수적이며 처를 중시한다. ()는 또한 이익과 욕심을 대표하고 물질 향수와 점유욕(占有慾)이 강하며 실제적인 것을 중시한다.

 

인성(印星)은 학습 문화를 나타내지만 재왕(財旺)한 사람은 학문하기를 좋아하지 않는다. 재왕(財旺)에 신약(身弱)한 사람은 일생 금전적 재물이나 여자로 인하여 화()를 당하기 쉽다. 편재(偏財)가 왕()한 사람은 가공, 선전, 광고 등의 업에 적합하고 정재(正財)가 왕()한 사람은 개척 정신이 부족하니 영업 판매직은 적합하지 못하다.

 

정재(正財)는 현실 감각이 뛰어남과 소유욕으로 표현이 되는데 정재(正財)가 추구하는 소유욕이란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대상을 지칭한다. 현실적이고 결과 중심적인 사고로서 결과가 확실하지 않다면 동하지 않는다. 모험을 피하고 현재 생활에 안정을 유지하는 쪽의 경제 활동을 추구하므로 지극히 근면한 생활의 표본이 된다. 정재(正財)의 특성은 치밀과 정밀관리이다.

 

천성이 꼼꼼하고 치밀하여 실언과 실수를 하지 않으며 숫자와 관련된 업무에 탁월하다. 근검절약하고 검소한 생활을 하며 정당한 대가의 재물 만을 취하고 유동적인 것을 싫어한다. 근면 성실한 성격으로 사회에서나 가정에서나 신의가 두터운 사람이 된다.

 

안정적인 경영으로 이익창출을 하며 단정하고 신용이 있다. 내가 제어하고 조작하며 나의 통제권을 벗어나는 것을 용납하지 않는다. 시원스럽지 않고 많은 계산이 따른다. 소유욕과 집착이 강하다. 미래를 중시한다.

 

정재(正財)는 백부 또는 백모를 나타내며 남자에게는 처를 의미하고 여자에게는 시어머니를 의미한다. 명예, 번영, 자산, 신용을 의미하며 정의와 공론을 존중하고 시비를 분명히 하며 의협심이 강하다.

 

명랑하며 주색을 좋아하고 결혼운이 좋은 반면 색정에 빠질 염려가 있다. 겁재(劫財)가 있으면 이같은 길조는 허무하게 되나 식신(食神)이 있으면 복록(福祿)이 더욱 증가된다.

 

월지(月支)에 정재(正財)가 있으면 성격이 독실단정하고 인망이 있으며 매사를 성실원만하게 처리한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검소하고 저축심(貯蓄心)이 있으나 정재(正財)와 묘()가 동주(同柱)하면 인색하여 수전노 소리를 듣는다

 

사주에 정재(正財)가 많으면 정()으로 손재(損財)하기 쉬우며 엄처시하(嚴妻侍下)에 있게 된다.

 

또 어머니와 이별하기 쉬우며 신약(身弱)이면 재산을 모으기 힘들며 비록 배운 것은 있으나 빈한하게 된다

 

년간(年干)에 정재(正財)가 있으면 조부가 부귀한 사람이다()과 월주(月柱)에 정재(正財)와 정관(正官)이 있으면 부귀할 집안에 태어난다.

 

 월간(月干)에 정재(正財)가 있으면 부지런하다일지에 정재가 있으면 처의 내조가 있다시간(時干)에 정재(正財)가 있으면 자수성가(自手成家)하나 그 성질이 조급하다. 또 그 정재(正財)가 형충파해(刑冲破害)되지 아니하고 겁재(劫財)가 없으면 처자가 길하다

 

정재(正財)는 천간(天干)에 있는 것보다 지지(地支)에 있는 것이 좋으며 지지(地支) 중 월지(月支)에 있는 것이 가장 좋으며 그 다음은 일지(日支)와 시지(時支). 특히 월지(月支)에 있으면 호문숙녀(豪門淑女)를 처로 맞이한다천성이 정관(正官)이고 지성이 정재(正財)면 고귀하다

 

편재(偏財) 얼렁뚱땅하는 성격이라면 정재(正財)는 성실영리근검절약하고 정직하다.

 

(辰戌丑未중에 財가 되는 사람은 돈에 대해 인색하다일간(日干) 신약(身弱)하고 정재(正財) 태과(太過)하면 지적으로  모자라는 명이다.

 

명식(命飾중에 () ()하면 () 대한 집착이 매우 강하다신약(身弱)하면서 편관(偏官) 같이 있으면 돈으로 어려움이 발생한다또한 청년시절 색정으로 인한 재액(災厄) 당한다.

 

천간(天干)에는 정재(正財)가 있고 지지(地支)에 비겁(比劫)이 있으면서 왕()하면 군자 인척 하나 속은 텅 비었고 각박하다.

 

정재(正財)3위정도 있으면 조급하고 결단력이 있다. 그러나 신약(身弱)하여 체()와 용()이 균형을 잃으면 오히려 동작이 느리고 우유부단하다.

 

섬세하고 세밀하여 매사를 차근차근 풀어나가는 성격이며 매우 착하고 온화한 성품을 지녔으며 가정적이다. 유머와 위트가 있고 명랑하며 대중하고도 잘 어울리며 놀 줄도 안다.

 

사주에 정재(正財)와 식신(食神)이 가까이 있으면 처의 내조가 있으며 또 정관(正官)과 가까이 있으면 현처(賢妻)를 맞이한다 

 

사주 중에 정재(正財)와 비견(比肩)이 있고 정재(正財)가 도화살(桃花殺) 또는 목욕(沐浴)과 동주하면 그 처가 다정 하여 부정하다. 그리고 정재(正財)가 쇠(), (), () 등의 십이운성(十二運星)과 동주하면 처의 신체가 허약하거나 우매하며 그렇지 아니하면 반드시 재가한다

 

정재(正財)와 겁재(劫財)가 동주하면 부친 덕이 없거나 빈곤하며 인수(印綬)와 동주하면 소망을 성취하기 힘들다

 

정재(正財)가 공망(空亡)되면 재화를 얻기 힘들며 처연이 박하다자 사주에 정재(正財)와 정관(正官) 인수(印綬)가 있으면 재색을 겸비한다. 하지만 여자 사주에 정재(正財)가 너무 많으면 반대로 빈천(貧賤)하다여자 사주에 정재(正財)와 인수(印綬)가 너무 많으면 음란하거나 천부가 된다

 

사주 중의 정재(正財)와 인수(印綬)가 서로 파()가 되면 시어머니와 사이가 좋지 못하다.

 

정재(正財)의 성격은 성실과 안정 그리고 신용이다무엇보다 약속을 어기는 일이 없다약속을 지키지 못할 경우엔 미리 연락하거나 해명을 할 정도로 빈틈이 없다.  그런 만큼 신경이 섬세하고 자상하다는 얘기가 되겠으나 상대방에 따라서는 그 섬세함과 자상함이 도리어 거추장스럽게 생각할 때가 있다.

 

너무 빈틈이 없고 고지식해서 애인으로서는 잔재미가 없는 사람처럼 보이고 매력이 떨어지나남편이나 아내의 역할로서는 상에 속하는 형으로 여간해서는 가정을 저버리거나 등한시하는 일이 없다.

 

공사가 분명하고부당한 재물이나 노력한 대가 이상의 수입을 원하지 않으며직장을 천직으로 알고 성실하게 일하며약속이나 규칙을 정확하게 지키고허례허식이나 낭비가 없이 근면검소절약저축을 생활 신조로 가계를 꾸리며부모에게는 효도하며자손에게는 유산을 남겨주고사회에는 경제적으로 이바지하는 좋은 타입이다.

 

절약하고 저축하는 것은 좋아하나 필요 없는 지출에 대해서는 남보다 몇 배 신경을 쓴다. 여간해서는 택시 같은 것도 타지 않는 성격으로인색한 것같이 보이지만 합리주의자로 보는 것이 옳다그러나 정재(正財) 역시명조의 짜임새에 따라 성정(性情)이 많이 달라진다.

 

신강(身强)한 사주는 결단력이 있어 지출할 때는 과감히 지출도 하고 대인관계도 원만한데신약(身弱)한 사주는 자칫하면 수전노 소리를 듣거나주저하고 망설이다가 모처럼 찾아온 행운의 기회를 놓치고 마는 수가 있으니 자신의 성격을 잘 제어하고 수양할 필요가 있다.

 

이런 사람은 매사를 숙명으로만 돌리지 말고자신의 결점을 항상 염두에 두고 일상생활의 사소한 일부터 머뭇거리거나 망설이는 버릇을 고쳐 나가면 큰일에 임해서도 주저하지 않고 과감하게 추진할 수 있는 결단력이 생겨 매사를 자기에게 유리하게 만들 수 있을 것이다.

 

아무튼 정재(正財)는 대인관계도 원만하고 가정에 있어서도 좋은 남편좋은 아내좋은 부모가 될 수 있는 선천적인 자질을 타고난 사람이라 하겠다단 사주 원국에 비겁(比劫)이 있어 정재(正財)를 극제(剋制)하면타고난 복록(福祿)이 억제 당하여 모처럼 좋은 암시가 약해진다고도 볼 수 있으니 이 경우에도 사주 전체의 흐름을 잘 살펴야 한다.

 

정재(正財)는 현실 감각이 뛰어남과 소유욕으로 표현이 되는데 정재(正財)가 추구하는 소유욕이란 현실적 이고 구체적인 대상을 지칭한다. 현실적이고 결과 중심적인 사고로서 결과가 확실하지 않다면 동하지 않는다. 모험을 피하고 현재 생활에 안정을 유지하는 쪽의 경제활동을 추구 하므로 지극히 근면한 생활의 표본이 된다. 정재(正財)의 특성은 치밀과 정밀관리이다.

 

천성이 꼼꼼하고 치밀하여 실언과 실수를 하지 않으며 숫자와 관련된 업무에 탁월하다. 또한 근검절약하고 검소한 생활을 하며 정당한 대가의 재물 만을 취하고 유동적인 것을 싫어한다. 근면 성실한 성격으로 사회에서나 가정에서나 신의가 두터운 사람이 된다.

 

안정적인 경영으로 이익 창출을 하며 단정하고 신용이 있으며 내가 제어하고 조작하며 나의 통제권을 벗어나는 것을 용납하지 않는다. 또한 소유욕과 집착이 강하며 미래를 중시한다. 그리고 너무 정확한 계산으로 인심이 박하고 인색하며 자신의 실리에 집착하여 최종 결론을 내리는 적기를 놓쳐 큰 것을 놓친다.

 

세상에서 분명하고 확실한 것 없이 늘 걱정되는 것들뿐 이므로 불안증(不安症)이 심화되어 무엇을 하든지 마음이 놓이지 않는다. 눈으로 보는 것만을 믿기 때문에 보이지 않는 형상이나 미래에 대한 선견지명이 결핍되어 도박적인 결단과 박력이 부족하다.

 

정재(正財)가 없다면 경제관념이 없어서 자신의 재물을 관리하는 것에도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있으면 쓰고 없으면 마는 형태의 반복이 될 것이다. 

'자평진전 > 사주초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재(正財)의 적성, 직업  (0) 2024.01.14
정재(正財)의 역할  (0) 2024.01.14
편재(偏財)와 십성(十星)과의 관계  (2) 2024.01.10
편재(偏財) 적성, 직업  (1) 2024.01.10
편재(偏財) 역할  (0) 2024.01.1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