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재(正財) 일반
일간(日干)을 극(剋)하여 지배하는 오행(五行) 중 음양(陰陽)이 다른 것을 정재(正財)라 한다.
의식주 생활을 위해 성실하게 노력한 대가로 농부가 가을에 수확한 곡식이나 직장인이 월급날 받는 보수, 장사나 기업활동을 통하여 얻어진 정당한 이윤 등이 이에 해당하며, 정식으로 혼례를 치른 처가 정재(正財)에 해당한다.
그러므로 정재(正財)에는 성실한 노력과 근검절약 정신이 베어 있고, 신용과 책임을 바탕으로 한 정당한 취득을 나타낸다.
땀 흘려 거둔 재물을 정재(正財)라고 한다면 겁재(劫財)는 가뭄, 해충, 질병이다. 식상(食傷)이 없다면 그 토지가 척박하다.
재(財)가 지나치게 많다면 경작지가 너무 넓어 황폐화되기 십상이다. 정재(正財)는 정이 깊은 인물이며 성실 견실, 절약하는 성분이다.
겁재(劫財)의 위협을 받는 명식 원국에 겁재운(劫財運)이 도래하면 아내의 신변에 재앙이 찾아올 수 있다. 나와 결합하는 정재(正財)는 아름다우나 타간(他干)과 합(合)하는 정재(正財)는 문제다.
재관쌍미(財官雙美)란 정재(正財), 정관(正官), 길성(吉星)의 조합을 의미하니 간합(干合)을 기피하고, 재(財)로써 관(官)을 생하는 것이다.
정재(正財)가 편관(偏官)을 보면 관위(官位)를 얻기 위해 가진 재산 모두를 들이민다는 의미이므로 스스로 위기를 자초하니 식신(食神)으로 살(殺)을 다스리거나 범퍼존 인이 있어야 재(財)가 안정된다. 그러나 겁재(劫財)가 재(財)를 위협한다면 구제의 신은 편관(偏官)이다.
정재(正財)는 정당하고 합법적인 자기 아내요 재산이다. 정재(正財)는 천부적으로 성실하고 검소하며 알뜰하다.
법에 따라서 합리적인 생산과 저축을 능사로 함으로써 신용이 두텁고 의식주는 여유가 있다.
같은 기업을 해도 편재(偏財)는 금융과 투기업 등 돈 장사에 능한데 반해 정재(正財)는 생산업과 농축산 등 안전하고 장기적인 기업을 선택한다.
정재(正財)가 둘이 있거나 편재(偏財)와 같이 있으면 정실과 소실이 있거나 두 여인이 같이 사는 격이다. 정재(正財)가 편재(偏財)로 변질하는 동시에 편재(偏財)가 많은 것과 다를 바 없다.
정재(正財)가 편재(偏財)로 바뀌면 수완과 재간이 비범하고 투기와 금융에 능하지만 치부하기는 어렵다.
부는 재간과 수완에서 형성되는 노다지가 아니고 오직 성실과 인심과 천명에서만 이뤄질 수 있다.
정재(正財)든 편재(偏財)든 재성(財星)은 물질적인 욕망의 별로서 돈을 버는 수단과 인연은 있으나 자칫하면 욕심으로 함정에 빠지기 쉽다.
재성(財星)이 기신(忌神)이 되거나 여럿이 나타나면 부양할 등짐이 태산 같은 것이니 아무리 욕심을 부리고 돈을 번다 해도 감당할 수 없는 동시에 재물을 낚으려 다가 도리어 낚이고 묶임으로써 재난과 질병을 자초하게 된다.
조물주가 사람을 낚는 최고의 미끼는 바로 돈과 벼슬이다. 또한 부의 심볼이자 재난의 근원이기도 하다. 치부하기 보다는 치명적인 재난에 걸리기 쉬운 함정이요 낚시가 바로 재성(財星)인 것이다.
년주(年柱) 정재(正財)는 유물, 유산, 귀금속, 대기업가, 투기사업가 등의 일이 발생하거나 상징한다.
월주(月柱) 정재(正財)는 위험성, 의타심, 횡재임, 낭비성, 연상의 여인 등의 일이 발생하거나 상징한다.
일주(日柱) 정재(正財)는 강제성, 의협심, 물욕의 욕심, 경제, 경영 등의 일이 발생하거나 상징한다.
시주(時柱) 정재(正財)는 시상일귀격(時上一貴格), 재물창고 연하의 여인, 애인이 많음 등의 일이 발생하거나 상징한다.
대운(大運) 정재(正財)는 횡재, 유산을 받음, 사치, 허영, 첩을 두는 일 등의 일이 발생하거나 상징한다.
정재의 긍정적인 면은
정확하고 성실하며 실수를 용납하지 않는다.
거짓말을 싫어하고 고지식한 성품을 지녔다.
성실하기 때문에 의식주에 대한 걱정이 없다.
직장생활에 충실하고 시간 약속을 어기는 법이 없다.
부당한 재물이나 노력한 대가 이상의 재물은 원하지 않는다.
검소한 저축생활로 주변 사람들로부터 존경을 받는다.
통솔력이 좋고 경영 능력이 좋아 이익 창출을 잘한다.
기획력이 있고 업무 수행 능력이 안정적이다.
천성이 꼼꼼하고 치밀하여 실언과 실수를 하지 않는다.
숫자에 정확성이 있어 경리, 기획, 회계 업무 등에 능하다.
정재(正財)가 있으면 단정하고 신용이 있고, 검소하고 신중하다.
정재의 부정적인 면은
남명(男命)의 신약(身弱)사주에 재성(財星)이 태왕(太旺)하면 단명하게 된다.
정재(正財)가 뿌리 없이 천간(天干)에만 있으면 부자가 못된다.
비겁(比劫)이 많고 재성(財星)이 약하면 가난하고 천할 수 있다.
재성(財星)이 진술축미(辰戌丑未)의 고(庫)에 있으면 돈 쓸 줄을 모른다.
정재(正財)가 태왕(太旺)하면 주관과 결단성이 없다.
재다신약(財多身弱) 사주는 처가 실권을 쥐고 있어 공처가가 된다.
이해득실은 빠르나 최종 결정을 내리는 적기를 놓친다.
고지식하여 원리원칙을 고수하고 융통성이 없다.
너무 정확한 계산으로 인심이 박하고 인색하다.
양보심이 적고 자신의 실리에 집착하여 큰 것을 놓친다
'자평진전 > 사주초급'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편관(偏官) 일반 (0) | 2024.01.16 |
---|---|
정재(正財)와 십성(十星)과의 관계 (2) | 2024.01.14 |
정재(正財)의 적성, 직업 (0) | 2024.01.14 |
정재(正財)의 역할 (0) | 2024.01.14 |
정재(正財)의 성격 (1) | 2024.0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