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관(正官)의 직업, 적성
정관(正官)은 합리적(合理的)인 심리구조를 갖게 되고, 안정감과 신뢰성(信賴性), 객관성(客觀性)이 돋보이는 성분이기도 하다. 또 책임감(責任感)이 투철하며 악법(惡法)도 지켜야 할 법이라고 생각을 한다.
상관(傷官)의 성분이 그러한 장면을 본다면 바로 뜯어 고쳐야 한다고 펄펄 뛰면서 조목조목 따지겠지만 정관(正官)은 그렇게 하지 않는다. 문서에 기록된 것에 대해서 절대적으로 준수(遵守)하는 성분이다. 자신의 영역에서 감당해야 할 일이라고 한다면 무슨 일이 있더라도 절대적으로 이행을 해야만 자신이 용납되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자신에게 엄격한 것이 책임감으로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정관(正官)은 진실하며 공명정대하다. 이러한 성분들이 인성(印星)으로 연결되면서 일간(日干)을 보고 있으면 관인상생(官印相生)이라 하며 전형적인 공무원의 적성이며 성실 근면하여 회사원, 행정업무에도 적합하다. 정관(正官)과 재성(財星)이 있으면 변리사(辨理士)의 적성이고, 정관(正官)과 식신(食神)과 재성(財星)이면 법무사(法務士)가 유력하다.
정관(正官)은 크게 봐서 문신이다. 아울러 직위나 직책을 나타내기도 한다. 잘 잘못을 가리고 지도하는 지도자의 위치에 있다.
정관격(正官格)이 잘 구성되면 고관, 국회의원, 최고경영자가 되나, 파격이 되면 하위직 공무원 명이다.
재관격(財官格)이 되고 명식이 양호하면 재무계통의 공무원, 최고경영자가 된다.
정관(正官)이 인수(印綬)를 보고 양호하면서 관이 더 왕(旺)하면 정치가로 인이 더 왕(旺)하면 대학자로 명성을 얻는다.
정관격(正官格)이 양인(羊刃)을 보든가 자형(自刑)이 되면서 성격이 되면 법조인으로 명성을 얻는다.
식신(食神), 인수(印綬), 정관(正官) 등이 상호 길작용을 하면 학계에서 명성을 얻는다.
정관격(正官格)은 기업체, 군, 경찰 등의 기획, 참모, 경영자로 출세한다.
여명(女命)으로서 관이 태과하고 합(合)이 많으면 화류계로 흐르기 쉽다.
여명(女命)으로써 관(官)이 태과(太過)하고 합(合)이 없으면 수녀, 승려가 되든지 독신생활을 하는 것이 좋다. 가정을 가지면 주위 사람을 괴롭혀 파탄한다.
공무원, 경찰, 검찰 직원, 직장 상사, 공기업 사장, 엄한 부친, 위엄 있는 선배, 교사(교사는 정관(正官)과 인수(印綬)의 성격을 동시에 가짐)
목(木)이 정관(正官)이 될 때는 인격이 높고 화합이 잘 되며 자중하는 힘이 강하다. (행정기관, 사법, 총무기획 분야가 양호)
화(火)가 정관(正官)이 될 때는 조급한 편에 다소 불안정, 악을 용납하지 않는다. (문화, 교육, 예술 분야가 양호)
토(土)가 정관(正官)일 때는 무게가 있고 정직하다. (농림 토목 분야가 양호)
금(金)이 정관(正官)이 될 때는 결단력과 영리함에 경제관념이 철저하다. (무관, 예악(禮樂), 재정경제 분야가 양호)
수(水)가 정관(正官)이 될 때는 온화하여 대인관계가 원만하고 자선심이 많다. (상공업, 지능적 업무, 수산, 자유업 분야가 양호)
직업으로는 통제, 정치, 권력, 지도자, 자율자재, 행정명령, 관료직, 정의명분, 공사처리, 결사, 일벌백계, 솔선수범, 수임 중책, 공인, 기자, 공무집행, 명예, 체통, 규율규범, 연구직 등에 적합하다.
학문으로는 철학, 역사학, 국어, 수학, 영어, 외국어, 대변인, 법학, 행정학, 정치학, 외교학, 사회학, 교육학 등에 적합하다.
'자평진전 > 사주초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관(正官)과 십성(十星)과의 관계 (1) | 2024.01.23 |
---|---|
정관(正官)의 성격 (1) | 2024.01.22 |
정관(正官) 일반 (3) | 2024.01.22 |
편관(偏官)과 십성(十星)과의 관계 (1) | 2024.01.16 |
편관(偏官)의 적성, 직업 (0) | 2024.0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