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관(正官) 일반

일간(日干)을 극()하는 오행(五行) 중 음양(陰陽)이 다른 것을 정관(正官)이라 한다. ()은 관리한다는 뜻으로, 우주 자연계가 항구적으로 존속하기 위한 엄연한 법칙과 질서가 있듯이 이 가정이나 단체, , 인류 사회에도 이와 같은 질서가 필요한데, 이것이 바로 정관(正官)으로 도덕이요 법이 되는 것이다.

 

남자에게는 자식과 명예, 직장이 되고, 여자에게는 남편이 되므로 정관의 향방은 대단히 중요하다고 하겠다. 사회적으로는 질서, 책임, 도덕, 윤리, 제도, , 권위, 명예, 정치를 의미하며 관공서나 국가기관 또는 관료, 직장, 공문서나 각종 관허문서, 자격증 등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상태 개념으로는 주위의 신망이 두텁고 존경받는 중견관료나 대기업의 중역이나 간부쯤 으로 해석하면 되겠다.

 

​​정관(正官)은 합법적이고 음양(陰陽)이 통하는 다정한 부양자로서 마치 아들을 보호하고 사랑하며 부양하는 아버지와 더불어 아내를 사랑하고 아끼며 보호하고 부양하는 남편과 같다.

 

또한 나를 부양하는 부양자로서 가장 지체 높은 어른인 동시에 의식주를 제공하는 젖줄이요 명맥이며 생업이다.

 

정관(正官)이 희신(喜神)이면 어려서부터 어른과의 인연이 두텁고 만사에 부지런하고 힘써 분발하는 천성이 있으며 어디를 가든 군자요 유능한 일꾼이요 인재로서 신임을 받음으로써 직업과 생업이 안전하고 순탄하며 유정(有情)하다. ​

 

하지만 정관(正官)이 기신(忌神)이 되면 수상보다 강하고 거만함으로써 수상을 따르지 않고 무법과 거역을 능사로 함으로써 법은 어지럽고 불안하고 위태롭다. 그리고 성급하고 사나우면서 참을성이 없고 거칠다. 감당할 능력이 없는 무능력자로서 매사에 자신이 없고 일에 쫓기는지라 지구력이 없고 변덕이 심하다.

 

아버지와 남편과 자식과의 인연이 박한 동시에 생업이 불안전하고 박복하다. 질병에 걸리기 쉬우며 건강을 유지하기 어렵다. 항상 버는 것보다 쓰는 것이 많으며 가난하고 천한 처지를 벗어나기 힘들다.

 

정재(正財) ()가 낳은 정관(正官)이 자식 아닌가. 자식이 낳은 명예 인에 의해 남자는 태어나니 자식의 명예로 남자는 그 일생을 보답 받는 법이다. 이처럼 가문의 명예로 부자관계는 이어지는 것이니 정관(正官)이 상처를 입으면 명예는 생기지 않고 인성이 너무 많으면 아버지는 기대가 크나 자식이 그에 미치지 못하게 된다.

 

여성의 입장에서 보면 자식이 낳은 재()에 의해 관()을 생()하여 그 남편이 편해지니 남인여재(男印女財)의 우선순위가 정해진다.

 

옛날에는 이 정관(正官)이 가장 귀한 신()으로 귀기(貴氣)라 하여 중시하였고, 이는 인수(印綬)를 낳아 지성 또한 발달하여 리더가 되나 절약을 중시하니 인색하다는 평이 돌기도 한다.

 

일지(日支) 정관(正官)이 진관(眞官)으로 관록(官祿)과 연이 깊으며, 이외는 허관(虛官)으로 힘이 딸린다. ()이 형충(刑冲)이 되면 합(), 암회(暗會)로 구제되는 바를 반드시 살필 일이다.

 

()과 충(), 전자와 후자의 암회(暗會)는 그 의미를 전혀 달리하므로 물상론(物象論)의 하이라이트가 된다. 정관(正官)의 태과(太過), 좋을리가 있겠는가 살()로 컨버트해서 해석하며 대략 맞아 떨어진다.

 

공의와 공론을 중시하는 왕도를 가고자 하는 정관(正官)의 순수성은 겁재(劫財)에 의해 희석되나니 때론 술수를 행하고 위법하기도 하거니와 이를 두고 겁재(劫財)가 귀기(貴氣)를 훔친다고 말한다.

 

어차피 혼탁한 경쟁사회를 피할 도리가 없다면 이런 개성도 또한 필요하거니와 실업가의 명에서 종종 보게 되니 정관(正官)과 식신(食神)이 간합(干合)하면 겉보기는 성실한 듯하나 끈기가 부족하고 결실이 없다.

 

월주(月柱) 정재(正財), 정관(正官)이면 부모의 유산은 보증된 국면이다. 인수(印綬)를 호록신(護祿神)이라 하는 이치는 상관(傷官)을 제어하기 때문이다.

 

년주(年柱) 정관(正官)은 장남, 이른 나이의 자식, 조선업 승계, 청년출사, 빠른 결혼 등의 일이 발생하거나 상징한다.

 

월주(月柱) 정관(正官)은 직업, 직장, 공무원, 공공기관, 애정, 자기위주 등의 일이 발생하거나 상징한다.

 

일주(日柱) 정관(正官)은 귀한자손, 애정돈독, 생식기능, 청렴 결백, 강직한 사람 등의 일이 발생하거나 상징한다.

 

시주(時柱) 정관(正官)은 귀한자손, 귀한 자녀, 노후 자손 영달, 혈맥 정통 등의 일이 발생하거나 상징한다.

 

대운(大運) 정관(正官)은 표창, 훈장, 영전, 승진, 어진 아내의 덕, 입학, 합격 등의 일이 발생하거나 상징한다.


 

긍정적인 면으로는 

품위와 인격이  갖추어져 있고자비와 도덕심이 강하다

 

명예와 질서를 존중하고 공정한 일처리로 타인의 모범이 된다.

 

모든 일에 모범적이고 비리를 척결하는 청렴 결백한 성격이다.

 

도덕과 윤리의식이 투철하고 준법정신을 중요시 여긴다.

 

명예충성공익정신공명심을 추구하니 군자의 상이다.

 

교만하지 않고 중간에서 조정을 잘하는 중용의 정신이 있다.

 

책임감이 강하고 조직에서 상사를  모신다.

 

인품이 수려하고 귀한 용모와 중후한 성품의 소유자이다. 

 

부정적인 면으로는 

정관(正官)은 자존심이 강하고 지나치게 원리원칙대로 한다. 자존심이 강하고 관용과 이해가 부족하다.

 

정확한 자기관리로 인하여 주변 사람들이 피곤할 수 있다. 정관(正官)이 태과(太過)하면 성정이 졸렬하며 무능하다.

 

정관격(正官格)에 신약하면 성공이 따르지 않게 된다. 융통성이 부족하여 큰일에 방해가 된다.

 

수단이 없어서  가지 일에만 집중한다소심하고 옹졸하면 변화에 취약한 성격이다.

 

환경에 적응 능력이 부족하여 갈등을 많이 겪는다자신이 하는 일을 인정받지 못하면 심각한 고민에 빠진다.

'자평진전 > 사주초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관(正官)의 직업, 적성  (0) 2024.01.23
정관(正官)의 성격  (1) 2024.01.22
편관(偏官)과 십성(十星)과의 관계  (1) 2024.01.16
편관(偏官)의 적성, 직업  (0) 2024.01.16
편관(偏官)의 역할  (0) 2024.01.1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