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관(傷官)과 십성(十星)과의 관계
신왕(身旺)한 상관격(傷官格)은 재성(財星)이 있는 것이 최대의 희신(喜神)이고 신약(身弱)한 상관격(傷官格)은 인수(印綬)가 있는 것이 최대의 희신(喜神)이다.
상관(傷官)은 흉신이므로 재성(財星)과 인성(印星)이 없는데 상관(傷官)만 둘 이상 있으면 좋지 않다. 일간(日干)이 약할 경우는 상관(傷官)에 비겁(比劫)이 있으면 희신(喜神)이 된다. 상관격(傷官格)에 인수(印綬)가 있으면 정관(正官)이 있어도 길하다.
상관격(傷官格)에 통관신(通關神)이 되는 재성(財星)이 있어도 길하다. 상관격(傷官格)이 충(冲), 형(刑), 공망(空亡)이 되면 파격(破格)이 된다. 단, 강한 상관격(傷官格)일 경우는 길하다.
상관(傷官)은 흉신(凶神)이므로 길신(吉神)과 반대로 간합(干合)이 되면 양호한 명이 된다. 상관격(傷官格)은 필히 일간(日干)이 강해야 제 기능을 발휘한다. 일간(日干)이 아주 강하면 상관(傷官)도 강해야 한다. 이 경우는 상관(傷官), 식신(食神)이 있는 것이 오히려 좋다.
신약(身弱)한 상관격(傷官格)이 재성(財星)이 없고 충(冲), 형(刑)이 되고 편인(偏印)이 있으면 각종 재난이 그칠 날이 없다. 잔재주는 있으나 가난하다.
상관(傷官)이 흉신(凶神)이지만 인수(印綬)가 있어 다스려주거나 재성(財星)이 있어 설(泄)해주든지 간합(干合)이 되면 양호한 부귀의 명이다.
지지(地支)에서 상관격(傷官格)이 되면 청수(淸水)하고 지혜가 많고 천간(天干)에서 상관격(傷官格)이 되면 총명하고 민첩하나 오만불손(傲慢不遜)하다.
월지(月支)가 상관격(傷官格)이 되는 진상관격(眞傷官格)은 극제(剋制)가 필요하고 천간(天干)에서 격(格)이 되는 가상관격(假傷官格)은 생조(生助)함이 필요하다.
일간(日干)이 신왕(身旺)한 상관격(傷官格)에 재성(財星)과 관성(官星)이 함께 있으면 부귀의 명이고, 생년(生年)에 상관(傷官)이 있으면 박복하다. 또한 월지(月支)에 상관(傷官)이 있으면 재난과 근심이 중하다.
상관(傷官)과 양인(羊刃)이 있으면서 재성(財星)이 없으면 간사스럽고 희롱함이 교묘하다. 그리고 상관(傷官)이 겹쳐 많으면 심신이 고달프다. 재성(財星)과 인수(印綬)가 적절해야 한다. 또한 일(日)에 상관(傷官)이 있는데 상관(傷官) 년운(年運)이 오면 같은 흉(凶)이 발생한다.
양(陽)일생의 상관(傷官)은 편인(偏印)이 있음을 좋아하는데 간합(干合)이 되기 때문인데 이는 용모가 뛰어나고 위인 같은 성격의 소유자이다.
일간(日干)이 약한데 상관(傷官)이 있으면 더욱 약해져서 건강상의 어려움 등 빈명(貧命)이다. 그리고 정관(正官)이 많으나, 편관(偏官)이 있어 일간(日干)을 극(剋)할 경우 상관(傷官)이 있으면 좋다. 또한 일간(日干)은 약한데 식상(食傷)이 강하면 건강이 좋지 않다.
약간 신약(身弱)한 명(命)에 상관격(傷官格)으로 인수(印綬)를 보는 것을 상관패인격(傷官佩印格)이라 한다. 대단히 좋은 명이다. 또한 일간(日干)이 매우 약하고 식상(食傷)만으로 구성된 명식을 종아격(從兒格)이라 한다. 성격이 되면 부귀의 명이나 여자는 남편, 남자는 자식 문제로 고심이 많다.
상관(傷官)은 길흉(吉凶)이 극(剋)과 극(剋)을 치닫는 명이다.
상관격(傷官格)에서 본 행운
신약(身弱)한 상관격(傷官格)은 인성(印星)운이 최대의 희신(喜神)운이며 비겁(比劫)운도 희신(喜神)운이다. 또한 신약(身弱)한 상관격(傷官格)은 관살(官殺), 식신(食神), 상관(傷官)운이 기신(忌神)운이다.
재성(財星)이 많고 신약(身弱)한 상관격(傷官格)은 비겁(比劫)운이 최대의 희신(喜神)운이고 그 다음이 인성(印星)운이 좋다. 재성(財星)과 관살(官殺)운은 기신(忌神)운이다.
비겁(比劫)이 많고 신강(身强)한 상관격(傷官格)은 재성(財星)과 편관(偏官)운이 희신(喜神)운이고 인성(印星) 및 비겁(比劫)운은 기신(忌神)운이다. 또한 인성(印星)이 많고 신강(身强)한 상관격(傷官格)은 식상(食傷), 재성(財星)운이 희신(喜神)운이고 인성(印星), 비겁(比劫)운이 기신(忌神)운이다.
상관격(傷官格)에 정관(正官)운이 오면 각종 병재와 근심 걱정이 발생하고 신약(身弱)한 명식이고 행운에서도 도움이 없으면서 정관(正官)운이 오면 병으로 오래도록 고생한다.
명(命) 중에 재성(財星)이 없는 상관격(傷官格)은 재성(財星)운에 발복(發福)한다.
체(體)는 강한데 상관격(傷官格)이 약하다면 식상(食傷)운이 희신(喜神)운이 되겠지만 상관격(傷官格)이 왕(旺)한데 식상(食傷)운이 오면 남자는 건강, 직장, 자식 문제로 고심이 있고, 여자는 남편과 생사별(生死別)의 아픔이 있다. 명(命) 중에 인수(印綬)나 편인(偏印)의 구신(求神)이 있으면 피한다.
상관격(傷官格)이 편관(偏官)을 본 상관대살격(傷官帶殺格)은 인성(印星)운은 희신(喜神)운이고 재성(財星)운은 편관(偏官)을 도와주므로 흉운(凶運)이다.
그러나 상관(傷官)에 비해 편관(偏官)이 약하면 인성(印星)과 재성(財星)운 모두 희신(喜神)운이다.
상관파진격(傷官破盡格)은 정관(正官)운이 최대의 희신(喜神)운이다. 신약(身弱)한 경우는 인성(印星), 비겁(比劫)운이 희신(喜神)운이나 신강(身强)한 경우는 재성(財星)과 상관(傷官)운이 희신(喜神)운이다.
상관패인격(傷官佩印格)은 관살(官殺)운이 희신(喜神)운이고 재성(財星)운은 구신운(仇神運)이 된다. 관살(官殺)운은 인(印)을 도와주고 인(印)은 또 상관(傷官)을 잘 다스려 주기 때문이다.
그리고 재성(財星)은 인수(印綬)를 극하므로 상관패인격(傷官佩印格) 자체를 파하기 때문이다.
종아격(從兒格)은 일간(日干)을 강하게 해주는 인성(印星)운과 비겁(比劫)은 기신(忌神)운이고, 식상(食傷) 및 재성(財星)운은 희신(喜神)운이다.
그리고 가상관격(假傷官格)으로서 힘이 약한데 인수(印綬)운이 오면 각종 질병으로 고생한다.
상관(傷官) 행운이 희신(喜神)일 때
탁월한 재능이 발휘되어 크게 발복(發福)한다. 관성(官星)이 왕(旺)해 상관(傷官)운이 희신(喜神)일 경우 미혼인 남성은 혼담이 많다.
그리고 기혼인 남명(男命)은 부인의 경사나 부인으로 재물을 얻는다.
미혼인 여성으로 관성(官星)이 왕(旺)하여 혼담이 늦어진 경우, 혼인이 성사되고 관(官)이 왕(旺)하여 기신(忌神)이 되어 건강이 좋지 않으면 이때 건강이 좋아진다.
상관(傷官) 행운이 기신(忌神)일 때
남명(男命)은 자녀 문제로 고심이 많으며, 상관(傷官)운이 와서 재(財)가 왕(旺)해지면서 남명(男命)은 바람을 피우기 시작하거나, 건강이 나빠질 수도 있고 파면, 실직 등의 최악의 경우가 되기도 한다.
여명(女命)은 남편이 별다른 이유도 없이 싫어 지고 미워지기까지 한다. 심하면 남편과 생사별(生死別)을 한다. 경하면 남편이 사고를 당한다.
건강이 대체로 나빠지거나 실직 또는 재산상의 손해를 본다. 관재 구설수가 일어난다.
상관격(傷官格)에 약한 정관(正官)이 명(命) 중에 있는데 상관(傷官)운이 오면 기신(忌神)이 되어 각종 구설 또는 큰 병에 걸려 죽는다.
진상관격(眞傷官格)은 상관(傷官)운이 오면 기신(忌神)운이 되어 복력(福力)이 쇠퇴하여 빈한(貧寒)하지 않으면 질병으로 고생한다. 일간(日干)이 강하면 조금 덜 하다.
상관(傷官)운이 명식과 충(冲), 형(刑)이 되면 실직할 수도 있다. 경하면 전직을 놓고 고심한다. 만약 명(命) 중에 정관(正官)이 있으면 더 심하다.
대운(大運)은 관성(官星)운이고 년운(年運)은 상관(傷官)운이면 각종 재난이 일어난다.
학생은 성적도 오르지 않고 반항 탈선의 행동을 하는 수도 있다.
'자평진전 > 사주초급'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편재(偏財)의 성격 (1) | 2024.01.10 |
---|---|
편재(偏財) 일반 (0) | 2024.01.10 |
상관(傷官)의 적성, 직업 (1) | 2024.01.09 |
상관(傷官)의 역할 (1) | 2024.01.09 |
상관(傷官)의 성격 (2) | 2024.01.09 |